연합뉴스 전재계약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다. 신문협회 산하 총무협의회는 지난달 11일 공문을 보내 전재료 20% 인하를 요구한 반면 연합뉴스측은 “기본적으로 인하 요인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료는 서울지역 종합일간지의 경우 월 5700만원 수준이며, 지난 98년 이후 지금까지 동결된 상태다.
총무협의회는 ‘전재료 20% 인하안’의 이유로 △통신매체의 환경변화로 연합에 대한 의존도가 줄었으며 △지난 98년 연합과 계약 해지된 로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뉴시스와 별도 계약을 하는 데 따른 ‘추가 비용’이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와 별도로 총무협의회는 연합뉴스에 전재료 수입내역과 외신계약 현황을 공개하고, 국내·외 기사를 구분해 분야 별로 계약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월 1000만원대의 인터넷매체 전재료에 대해서는 폐지를 요구했다. 신문사들이 독자들에게 무료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 있으니 만큼 신문사 인터넷이 유료화하기 전까지는 별도로 전재계약을 체결하지 말자는 주장이다. 인터넷매체 전재계약은 지난 99년 10월 협상을 시작한 이후 2000년 1월 첫 정식 계약이 체결됐었다.
연합뉴스는 총무협의회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전재료가 지난 98년 이후 줄곧 동결됐다는 점과 그 동안의 물가인상률, 신문사 매출액 증가율, 조선중앙통신 등 기사 서비스 증가 등을 감안하면 오히려 인상 요인이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홍성완 정보사업국장은 “국제적으로도 통신 기사를 분야 별로 개별 계약하는 경우는 없다. 외신과의 계약액도 해마다 인상되는 마당에 전재료 인하를 요구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는 조치”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총무협의회는 지난 98년 12월에도 전재료 30% 인하와 함께 내·외신 구분 계약, 전재료 수익내역과 외신계약 현황 공개 등 ‘비슷한’ 요구를 한 바 있다. 당시 연합뉴스는 3개월여의 협상 끝에 전광판 뉴스 서비스 등 호스트 사용료와 그래픽 뉴스 사용료를 폐지, 사실상 전재료를 5% 인하했었다.
2001년의 경우 연합뉴스 전재료 수익은 244억원으로, 전체 매출 544억원 가운데 44%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