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대전 정부청사 브리핑룸 전환

기자단 자발적으로 기자실 개방 결정

서정은 기자  2003.04.09 00:00:00

기사프린트

정부의 취재시스템 개선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대전청사 출입기자들이 자발적으로 기자실 개방, 방문취재 금지 반대 등 기자실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면서 타 부처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 대전청사 출입기자들은 지난달 31일 회의를 열고 기존 기자단을 해체,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하고 일정 자격을 갖춘 모든 언론에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27개 중앙·지역언론사 기자들로 구성된 대전청사 출입기자들은 이와 관련, 지난 1일 성명을 통해 “참여정부가 출범하면서 그 동안 관행적으로 결성되고 운영돼온 기자단이 마치 부정의 온상인 것처럼 매도되고 있다”며 “기자실 운영비를 출입사가 부담하고 출입기관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규약을 만드는 등 모범적으로 운영해왔지만 개방화 시대에 역행하고 일부 부정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환골탈태의 정신으로 새롭게 태어날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따라서 △기존 기자단을 발전적으로 해체, 친목모임으로 전환하고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 일정자격을 갖춘 모든 언론에 개방하고 모임 가입 여부도 자율에 맡기며 △브리핑룸 운영은 그 동안 관행대로 출입사의 운영비 부담을 원칙으로 한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출입기자들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려고 하는 ‘방문 취재 금지’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방문 취재 금지는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개악으로 판단해 수용을 전면 거부하며 어떤 방침이 있더라고 종전의 취재 시스템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사무실 방문취재 금지가 정부 방침으로 확정될 경우 논란이 예상된다.

대전청사 출입기자모임 간사인 송광석 대전일보 차장은 “기자단이 개혁 대상으로 비춰지는 상황에서 자발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대내외에 천명하고자 했다”며 “기자실 개방 취지에는 동감하지만 사무실 방문취재 금지는 공무원들의 정보 노출을 막아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게 된다. 앞으로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하든 우리는 관행대로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생긴다면 우리도 후속 대응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청사 출입기자들은 △사무실 방문취재 금지 반대 △브리핑 내실화 등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국정홍보처에 전달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