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조선운동을 둘러싼 조선일보와 ‘안티 진영’의 대결 양상이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 조선일보는 독립기념관의 윤전기 철거 결정 전후 지면을 통해 안티조선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안티조선측은 지난 7일 ‘주간 안티조선’을 발행하는 등 ‘제2의 조선일보 반대운동’을 선언하고 나섰다.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는 ‘주간 안티조선’ 창간호에서 지난 74년 박정희 정권의 ‘논조분석실’ 설치 운영 방침을 조선일보가 ‘정부·언론 시국관차 해소노력’으로 보도한 사례를 소개했다. 또 지난달 18일자 ‘진보적 지식인들 ‘권력과 거리두기’나서’ 기사가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강도 높은 비판’인 것처럼 왜곡했다는 손호철 서강대 교수의 항의서한을 게재했다. 칼럼에서는 “조선일보 반대운동 2라운드는 철저하게 조선일보 지면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할 것”이라며 “조선일보가 ‘1등신문’이라는 ‘허명’과 달리 매일매일 얼마나 많은 오보를 내보내고 있는지 밝혀내 조선일보 반대운동의 ‘내용’을 확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조선일보는 지난 3일자 ‘“조선일보 보는 사람과 결혼 안하기 운동 벌이자”’ 기사를 통해 지난달 29일 열린 ‘국민의 힘 전국대번개’ 언론분과 워크숍 내용을 보도했다.
조선일보 7일자 ‘안티에도 품격이 있어야’ 기사에서는 해외사례를 소개하며 “‘안티 신문’ 세력들은 특정 신문사 논조나 기사 내용은 물론, 신문사의 역사와 경영 전반에 대해 비판한다. 그러나 욕설이나 저주 등이 뒤섞인 우리나라의 안티조선 운동과는 ‘품위’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5일자 창간기념호에는 2개면을 할애, ‘안티조선…누가 주도하나’ ‘시민단체 공격 언개련-민언련이 앞장’ ‘시위-욕설-저주-인터넷비방…무차별 선동’ 등 안티조선 기획기사를 실었다.
일련의 안티조선 기사와 관련 조선일보의 한 기자는 “정권도 바뀌었고 정권과 밀접한 인물들이 안티진영에 포진해 있는 등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면서 “이 같은 상황에서 안티활동의 문제점이나 왜곡된 주장에 대해 적극 발언하고 지적해나가는 것은 당연한일”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보도에 대해 안티조선 측은 “또 다른 왜곡보도”라며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 힘과 조선일보반대시민연대는 워크숍 관련 보도에 대해 지난 3일 성명을 내고 “한 참석자가 농담으로 던진 발언을 행사의 핵심적인 발언으로 뽑았다. 비열한 잠입 취재이며 사실에 대한 날조와 왜곡”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