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기자협회를 비롯한 전국언론노조, 한국언론학회,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바른지역언론연대, 지방분권국민운동 등 6개 단체는 대전MBC 회의실에서 대표자 회의를 열고 오는 19일 확대 연대기구 결성 범위, 몇몇 단체에서 추진 중인 지방언론 관련법의 단일법안 추진 여부 등을 결정하기로 했다. 대표자 회의에는 △김기태 광주전남기자협회 회장, 이광우 기자협회 지방언론활성화특위 위원장 △언론노조 경인일보 지부 김순기 위원장, 매일신문 지부 최정암 위원장 △장호순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우희창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 △윤두영 홍성신문 대표 △김중석 지방분권국민운동 지방언론연구팀장(강원도민일보 상무이사) 등 8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법률안 마련, 입법 추진 과정에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연대기구 구성과 기자협회 언론노조 지방분권국민운동 등에서 준비 중인 법안 시안을 공동 논의해 단일법안으로 상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김기태 회장은 “법률안 명칭이나 핵심사항인 지원 대상, 선정 방법과 기준 등을 담은 법률시안을 가급적 4월 중으로 마련한 뒤 오는 9월 정기국회 때 이를 상정하자는 향후 일정에 대부분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언론노조는 단위노조,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 중앙위 등의 회의를 거쳐 연대기구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김순기 위원장은 “대표자 회의에서 연대기구 참여와 단일법안 마련을 제안했기 때문에 언론노조 차원에서 참여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노조는 지난달 7일 ‘신문시장 정상화와 지역언론활성화 방안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 이후 지역언론 육성을 위한 법안 마련에 착수, 이달 중순경 시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오는 19일 회의에서 지방언론 육성법 제정을 위한 연대기구가 발족하면 산하에 실무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해 법안 확정, 입법논의 등 구체적인 활동에 돌입할 계획이어서 법제화 작업은 말 그대로 ‘각론’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우희창 사무국장은 “연대기구 구성문제가 확정되면 TF팀을 구성, 법안 논의나 대국민 홍보, 자체 개혁과제를 마련해 지방언론에 제안하는 활동들을 분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 국장은 또 “지방언론의 실태와현재의면면만으로는 지역민들에게 법적 지원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납득시키기 어렵다고 본다”면서 “국민들의 이해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지방언론의 자체적인 개혁 요구와 실천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