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들어 언론계 인사를 둘러싼 논란이 거듭되는 가운데 경제금융 전문 인터넷매체인 이데일리의 ‘주총 이야기’가 관심을 끌고 있다. 주총을 앞두고 사원들이 대표이사를 비롯한 이사진들을 직접 인선했으며, 이사회는 이를 전폭 수용했기 때문. 물론 ‘벤처언론’이기에 가능한 일일 수도 있으나, 추천위원회 구성 등 최근의 경향과 ‘코드’가 맞는 부분들도 적지 않다.
이데일리의 ‘벤처언론스러운’ 주총인사는 전임 이사회 결정에서 출발했다. 지난 2월 당시 최창환 사장과 김봉국 전무 등 이사회에서는 회사 설립 3년째를 맞아 기존 체제 유지 여부를 비롯한 경영진 개편, 회사 운영방향 등 주요 결정을 주주사원들에게 일임했다. 이데일리는 전 직원 90여명 가운데 사원주주 20여명이 지분 60% 가량을 보유한 대주주로 있다.
이사회 결정에 따라 주주사원들은 팀장급 이상 간부 5명으로 차기경영진추천위를 구성, ‘2기 이데일리’의 방향과 내부인사 발탁, 외부 영입 등 경영진 구성안을 놓고 사원들의 여론을 수렴했다.
추천위는 2주간의 논의 끝에 새 이사진 명단을 이사회에 제출했고 이사회는 이를 전폭 수용했다. 지난 3월 27일 주총에서 이훈 사장(사진), 최창환 편집부문대표, 김봉국 전략기획담당 부사장을 비롯한 새 이사진의 면면은 이렇게 결정됐다. 이훈 신임 사장은 수석부장에서 사장으로, 6단계를 수직 상승하기도 했다.
문주용 산업부장은 추천위 활동과 관련 “기자들이 스스로 출자해서 만든 회사인만큼 사원과 이사들 모두 언론의 민주적 운영에 부합하는 모델을 구현해보자는 취지에서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부장은 “벤처 설립 3∼4년이 지나면 내부 알력이 생기거나 이 때문에 창립멤버들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다”며 “자칫 크지 않은 조직에서 계파가 생기는 등의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