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룸 전환 등 시·도 기자실 운영 개선과정에서 서울지역 신문사, 이른바 중앙지 주재기자들의 입장이 또 다른 ‘변수’로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몇몇 지역에서 불거졌던 공무원직장협의회(공직협)의 기자실 강제 폐쇄와 함께 상주를 막겠다는 명목으로 개인 사물함 설치를 금지하는 등의 조치가 일부 중앙지 주재기자들의 반발을 샀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시·도청 기자실이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전환될 경우 중앙지 주재기자들은 달리 상주할 곳이 없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깔려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7월 공직협에서 브리핑룸 전환을 요구, 지방과 중앙 기자실을 통합해 운영하는 방안이 논의됐었다. 출입기자단과 논의 과정에서 공직협은 ‘변형된’ 기자실이 아닌 완전 브리핑룸제 도입을 촉구하며 개인 사물함이나 서랍 비치를 금지하자 이에 반발한 13개 중앙지 기자들은 전세금을 갹출해 시청 밖에 별도의 기자실을 마련했다. 한 중앙지 주재기자는 “브리핑룸 도입 명분에는 동감했지만 공직협의 강제적인 집행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따로 기자실을 마련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중앙지 기자는 “시정 경찰 교육 등 여러 분야를 맡다보니 정보가 모이는 시·도청 기자실에 상주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들 13개사 중앙지 기자들은 △시에서 행정전화와 인터넷통신망 설치 △개인전화나 사물함 등 집기 비치는 기자 자율적으로 운영 등에 울산시와 합의하고 이번 주중 프레스룸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경북도청의 경우 올 2월 공직협에서 기자실 폐쇄, 브리핑룸 전환을 요구한 이후 울산시 사례와 비슷한 이유로 일부 중앙지 기자들이 반발하는 일이 벌어졌다. 경북도청도 지방, 중앙기자실을 통합한 프레스룸 운영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3명의 중앙지 주재기자들은 기자실 폐쇄 요구에 반발하며 도청 내 경북경찰청 기자실로 자리를 옮겼다.
이 지역의 한 기자는 “사실 지방지 기자들은 브리핑룸 전환에 별다른 불편이 없다. 중앙지 기자들의 경우 기자실을 사실상 개인 사무실로 쓰다시피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난감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같은 상황은 기자실 반납 등 기자들의 자발적인 운영 개선 움직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 지방사 차장은 “주요 출입처 별로 기자실자진반납 결의를 추진했었으나 중앙지 기자들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진전을 보지 못했다”며 “기자실 개방이라는 취지에는 동의하나 상주 필요성 등 현실적인 이유로 뚜렷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