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정원 언론 접촉 여전

"빈도수 줄었지만 대언론 업무 예전 그대로"

전관석 기자  2003.04.16 00:00:00

기사프린트

“국정원 직원의 언론사 출입을 금지시키겠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국정원의 대 언론접촉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노무현 대통령은 취임한 후 수 차례에 걸쳐 정당, 정부부처, 언론사 출입금지 검토를 지시했으며 이에 대한 의지표명으로 국정원의 국내정치 보고를 일절 받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국정원 직원들은 여전히 취재기자나 비서실, 사장실, 노조, 각 부 데스크 등을 두루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 직원 한 명이 담당하는 언론사는 1∼2개사 정도. 사실 국정원 고유업무중 대언론 정보수집 기능은 포함돼 있지 않다. 따라서 그동안 국정원 직원들은 언론사를 ‘출입’하지는 않고 각 부서 담당자들과 비공개로 접촉하는 것이 관행처럼 돼 있었다.

한 일간지 기자는 “얼마 전 기사 문제로 국정원 담당직원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 취재경위 등을 물었다”면서 “기사 외에 언론사에서 준비하고 있는 행사 등에 대해 묻기도 한다”고 말했다. 다른 일간지 한 부장도 “예전과 비교해 전화나 대면접촉의 빈도수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대통령 발언 이후에도 국정원의 대언론 업무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정원의 대언론 업무가 변화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움직임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한 일간지 차장은 “국정원 업무 중 관행처럼 돼 있는 대언론 수집활동 기능을 계속 둘 것인가 완전히 배제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있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고 대통령의 의지표명만으로 정보수집의 중요한 창구인 대언론사 업무가 근절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정원 관계자는 “정보기관의 특수성 때문에 언론사 정보수집과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을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고영구 내정자가 정식 취임할 경우 국정원의 ‘대언론 수집활동’이 어떤 형태로든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새 국정원장에 내정된 고영구 변호사는 4월 임시국회 회기 중 계획돼 있는 인사청문회에서 언론사 접촉 금지 등을 포함한 국정원 개혁의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여 고 내정자의 발언과 이후 국정원의 대언론사 접촉 기능 존폐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관석 기자 sherp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