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박종희 대변인이 기자협회와 언론노조를 향해 “희한한 놈들”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데 이어 이번에는 한나라당 김영일 사무총장이 비난이 대상에 오르고 있다.
김 총장은 세풍과 관련 한겨레가 지난 10일 “‘세풍돈’ 선거자금을 받은 정치인이 개인용도로 사용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영일 의원 1000만원을 비롯, 한나라당 전·현직 의원 10명이 세풍 관련 자금을 건네받았다는 사실을 보도하자 당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이를 보도한 한겨레를 ‘창녀’에 비유해 빈축을 샀다.
김 총장은 “창녀가 손님의 인격이 아니라 돈지갑을 보듯, 검찰과 특정언론이 피해자 인권은 아랑곳 않고 권력의 시녀노릇을 하고 있다”며 원색적인 공격을 가했다. 김 총장은 또한 지난 8일 문화일보가 “국정원 도청 감찰 정보가 제3자를 통해 김영일 총장에 전달됐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하자 문화 편집국과 사장실에 전화를 걸어 “소송도 불사하겠다”며 불만을 터뜨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는 지난 11일 사설에서 “당 안팎으로 궁지에 몰린 김 총장으로서는 ‘가장 원색적인 공격’이 ‘최선의 방어책’이라고 여길 수도 있다”면서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 해도 원내 제1당 사무총장이라는 위치에 있는 정치인이라면 언어 선택에 최소한의 절제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언론을 향한 한나라당 주요 당직자들의 잇따른 막말에 대해 한 일간지 정치부 기자는 “김 총장의 ‘창녀’ 발언 보도를 보고 기자로서 자괴감을 느꼈다”면서 “한나라당이 과연 현 정부의 언론정책을 비판할 자격을 갖췄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