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합통신' 어떻게 출범했나

김상철 기자  2003.04.23 00:00:00

기사프린트

언론통폐합때 동양·합동 49% 출자

83년 이후 KBS·MBC 대주주 부상





국회에서 연합뉴스를 비롯한 통신사 관련 법률인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안’ 제정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연합통신’의 출범과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연합뉴스는 통신 관련 법 제정의 의의 가운데 하나로 “신군부의 언론통폐합 등 각종 왜곡된 구조로 피해자를 양산한 것을 바로잡고 회복시키는 작업의 일환”임을 강조하고 있다. 법안은 또 MBC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사례와 같이, KBS MBC의 주식 74.5%를 환수, 뉴스통신진흥회가 연합뉴스의 대주주가 되는 방안을 상정하고 있다. 지금의 연합뉴스 소유구조 형성과정이 새삼 관심사로 떠오른 것도 이 때문이다.

이미 알려졌듯, 연합통신은 지난 80년 12월 신군부의 언론사 통폐합 작업의 일환으로 생겨났다. 당시 민간종합통신사인 동양통신(쌍용그룹)과 합동통신(두산그룹 소유)을 통합하고 군소통신사인 시사 경제 산업 등 특수통신을 흡수해 자본금 13억원의 단일통신으로 출범한 것이다. 이에 앞서 같은해 11월 14일 신문협회와 방송협회는 ‘자율결의’라는 형식으로 “기존 통신사와 신문 및 방송협회 전 회원이 참여하여 국내외 취재와 뉴스공급을 대폭 강화할 영향력 있는 통신을 조속한 시일 내 설립한다”는 결정을 내렸으나 ‘강제성’이 가려지지는 않았다. 실제로 80년 7월 당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문교공보 분과위에서 작성한 ‘언론계의 정화·정비계획보고’에 따르면 통신의 경우 합동 동양 양사를 정부 주도하에 통합·개편하고 경제 시사 산업통신 등을 폐간한다는 방안이 거론돼 있다.

80년 출범 당시 연합통신의 주식은 총 130만주, 액면가 1000원이었다. 연합통신 주식은 87년 4월, 1주에 1만원으로 액면 병합됐다. 설립 자본금의 51%는 당시 신문협회 방송협회 회원사들이 나눠서 출자했으며 49%는 합동과 동양 양사가 각각 24.5%(31만8500주)씩 현물출자 방식으로 부담했다. 언론사 보유주식 현황은 KBS 17.85% MBC 7.65% 서울지역 6개 신문 2.34% 경제지 지방지 0.7~1.4% 등이었다.

연합통신의 현재 소유구조는 지난 83년 2월 동양 합동 양사가 주식을 각각 KBS MBC에 액면가로 이전하면서 완료됐으며 이로써 KBS MBC(19개 지방MBC 포함)는 각각 42.35% 32.15%의 지분을 보유한 연합통신의 대주주가 됐다. 이 과정을 둘러싸고 이후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90년11월 두산유업은 80년 언론통폐합 당시 합동통신을 강제환수 당했다며 국가와 연합통신 MBC를 상대로 빼앗긴 통신기자재와 영업권에 대한 손해배상금과 주식 31만여주를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두산유업은 “80년 12월말 재산을 양도하고 그 대가로 연합통신에 출자형식으로 24.5%에 해당하는 31만8500주를 받았으나 83년 2월 문공부 당국자의 압력으로 액면가 3억1850만원만을 받고 양도했다”고 밝혔다. 언론통폐합 이후인 83년에도 연합통신에는 신군부의 ‘소유구조 변화 강제’라는 그늘이 계속됐던 셈이다.

한편 현재 연합뉴스 주식을 보유한 언론사들은 순자산가액 또는 장부가액을 1주당 13만원대로 평가해놓고 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