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방 살리기' 닻 올렸다

지역언론개혁연대 출범…지원·육성법 제정 박차

김상철 기자  2003.04.23 00:00:00

기사프린트

기협·언론학회·민언련 등 6개 단체 참여





지방언론 지원·육성을 위한 법 제정과 지방언론 개혁을 추진할 연대기구가 결성됐다.

기자협회를 비롯한 한국언론학회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바른지역언론연대 지방분권국민운동 등 5개 단체 실무대표들은 지난 19일 대전MBC 회의실에서 모임을 갖고 ‘지역언론개혁연대’(가칭) 출범에 뜻을 모았다. 언론노조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으나, 지난 21일 부산에서 열린 언론노조 산하 지역언론사 노조위원장단 회의에서 원칙적으로 연대기구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5개 단체 참석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지방언론 정상화를 위해 자체 개혁노력과 법 제정 필요성을 알리는 작업이 우선돼야 하고, 타당성 있는 원칙을 바탕으로 특별법을 만들어 지역민과 독자들이 혜택을 받는 쪽으로 논의가 전개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지방언론 개혁 프로그램과 지원육성을 위한 법 제정 작업을 병행한다는 원칙을 세운 지역언론개혁연대는 이에 따라 산하에 △정책팀 △개혁팀 △기획·홍보팀을 두는 한편 대전충남민언련에 사무국을 설치하기로 했다. 법안 검토 작업(정책팀)은 언론학회와 지방분권국민운동에서, 지방언론 자체 개혁방안(개혁팀)은 민언련을 중심으로 논의된다. 정책팀은 장호순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김중석 강원도민일보 상무(지방분권국민운동 지방언론연구팀장)가, 개혁팀은 강창덕 경남민언련 대표 등이 간사를 맡는다. 기획·홍보팀은 김기태 광주전남기자협회장과 이광우 기자협회 지방언론활성화특위 위원장(부산일보 제2사회부 차장), 한관호 남해신문 대표가 간사를 맡기로 했다.

지역언론개혁연대의 운영은 실무대표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담당하며 최종 의사결정은 참여단체의 대표자협의회를 통해 이뤄진다. 김영호 우석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간사를 맡은 운영위는 실무대표들이 수시로 의견을 교환하고 각 팀별로 1∼2명을 추가로 추천받아 정책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김기태 광주전남협회장은 “지방 살리기와 지방분권 차원에서 지방언론 육성을 위한 법제화 운동을 전개하되, 모든 지방언론을 무조건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닌 개혁을 유도하는 쪽으로 법제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우희창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도 “지역언론개혁연대가 지원과 개혁에 동시에 무게를 둔 것은 ‘지방언론의 개혁 자체가 곧 발전’이라는인식에서 비롯됐다”며 “개혁의 명분을 잃지 않으면서 일선에서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언론개혁연대는 정책팀 기획팀 등에서 논의한 실무과제를 확정, 다음달 16일 회의에서 지방언론 개혁과 법 제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언론노조 산하 지역언론사 노조위원장단은 지난 21일 회의를 열고 ‘지역언론활성화법안’(가칭) 검토를 마무리하고 이번주 중 중앙위원회에 이를 상정키로 했다. 매일신문 지부 최정암 위원장은 “회의에서 원칙적으로 연대기구에 참여한다는 방침을 정했다”며 “공동법안 마련 여부는 이후 논의과정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