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홍사장 엄정처리 언론개혁 계기 삼아야'

언론계'조사결과 공개로 통제의혹 불식'···탈세사건 조치 긍정적 평가

김상철  2000.11.07 13:22:22

기사프린트

마침내 뚜껑이 열렸다. 조사 결과와 파장도 예상보다 엄청나다.



17일 국세청의 보광그룹 세무조사 결과 발표를 놓고 언론계에서는 언론사 사주가 연루된 이같은 내용을 처음으로 공개한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홍 사장의 거취와 검찰의 처리 문제에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번 조치가 언론 개혁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귀추가 주목된다.



세무조사에 대한 언론계 반응은 ▷탈루액수가 예상보다 너무 크고 광범위해 법적 처벌을 피할 수 없으며 ▷결과를 공개한 만큼 '표적세정'이라는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다는 것으로 모아진다.



먼저 한 신문사 편집국장은 "이번 결과는 객관적으로 봐도 비중이 큰 사건이고 혐의도 명백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 국세청 출입기자도 "예상보다 강도 높은 결과가 나왔다"면서 "일반 기업체 사장이었으면 당장 구속감"이라고 전했다. 경향신문의 한 간부는 "엄포만 놓고 흐지부지하면 언론 길들이기 소리를 듣지만 지금은 다 공개했으니 그런 얘기가 나올 여지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부분 홍 사장이 경영에서 손을 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언론·시민단체들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언개연 민언련 참여연대 경실련 등은 ▷국세청의 탈루 사실 적발과 추징, 검찰 고소는 당연한 직무수행이며 ▷중앙일보는 이번 결과에 대해 반발보다는 자기 성찰과 반성을 우선해야 하고 ▷홍 사장은 법적 처벌 이전에 언론사 사주로서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앙일보는 홍 사장 거취 문제에 대해 아직 유보적이다. 중앙일보의 한 관계자는 "퇴진 문제는 얘기된 바 없다"며 "홍 사장이 이미 밝혔던 만큼 수사결과에 따라 법적으로 책임을 질 일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언론계에서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언론개혁을 본격화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민일보의 한 기자는 "이번 발표로 언론사 세무조사의 가닥이 잡힌 셈"이라며 "동일한 잣대로 조사를 확대해 나가야 언론통제 우려도 불식시키고 성역을 허물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언개연 김주언 사무총장도 "사주의 1인 지배에서 야기되는 문제가 드러난 만큼 신문 족벌체제를 개혁하고 편집권 독립을 이루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어디까지나 국세청에서 원칙적으로처리한결과"라며 "일부에선 잘못된 시각을 가지고 신중론을 개진하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원칙론에서 밀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중앙일보에서 홍 사장 혐의 사실을 막으려고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결국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모든 게 법적으로 처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은 이제 검찰의 손으로 넘어갔다. 검찰은 이례적으로 즉각 수사에 착수하는 등 단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정권이 홍 사장의 경영 퇴진을 조건으로 엄격한 법 적용을 미룰지도 모른다는 견해도 내놓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국세청은 17일 보광그룹 사주인 중앙일보 홍석현 사장을 조세포탈과 공금유용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한편 보광그룹과 홍씨 일가가 685억 원의 세금을 빼돌린 사실이 드러나 262억 원을 추징한다고 발표했다. 검찰을 곧바로 이 사건을 중수부에 배당했다.



중앙일보는 같은 날 "홍씨 일가의 재산 관리는 보광의 실무자에게 위임한 것이며 홍 사장은 94년 중앙일보 대표 부임 이래 보광그룹 경영에 일체 관여하지 않았다"는 요지의 해명자료를 돌렸다. 또 홍 사장은 "본의 아니게 물의를 빚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수사과정에서 위법사항이 드러나면 모든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