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신문 활성화를 위한 육성법’(이하 육성법)에 대해 지방신문사 편집국장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지난 1일 언론재단이 주최한 ‘지방신문의 현실과 발전방안’ 토론회에서 30여명의 지방신문사 편집국장들은 육성법 제정 및 지방사 난립 해소 방안, 정부 광고 배정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쟁점별로 정리한다.
지방신문 육성법
발제를 맡은 권혁남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신문개혁의 핵심은 ‘조중동’이라는 빅3 독과점 규제와 함께 죽어가는 지방신문의 지원과 보호”라며 “정부가 시장 질서를 바로 잡고 실패한 시장을 복원하는데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지방신문의 위기 원인에 대해 △지나친 수도권 집중 △중앙지의 무차별적인 지방시장 침탈 △난립, 지면사유화 등 지방신문 스스로 불신 초래 △소지역 신문과 생활정보지 급성장 등을 꼽으면서 ‘지방신문 육성법’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권 교수는 이어 지원대상자 선정 기준에 대해 △개인의 소유 집중도 △경영 투명성 △편집권 독립 △사주에 대한 평가 △주재기자 운영의 투명성 △언론인의 근로환경 및 임금 △ABC 가입 유무 △독자들의 신문 참여 장치 유무 등을 내놓으면서 언론계, 학계, 정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지방신문 발전위원회(가칭)를 구성해 구체적인 방법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정 동양일보 편집국장은 “지방신문 지원시 경영자가 아닌 언론 종사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종경 전남일보 편집국장은 지방신문이 대형 시리즈를 기획했을 때 부대비용을 직접 지원해 주는 방안을 제안하면서 “지원법 제정과 함께 부실 신문사를 퇴출시키는 방안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박창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은 “지방신문을 육성한다는 취지에 공감한다”며 “그러나 아무리 좋은 시책이라고 하더라도 정부가 앞장서는 것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강수 중부일보 편집국장은 “(육성법이) 순수하게 지방언론을 육성하자는 것인지, 지방언론 육성을 빙자해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법 제정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김정운 경북일보 편집국장은 “많은 지방신문사를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생각하면 현실성이 적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라며 “무엇보다 지방지 종사자 스스로의 뼈를 깎는 노력이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은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축이 지방언론”이라며 “지방언론을 육성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찾아보겠지만 정부가 통제할 수밖에 없는 구조는 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법도 엄격히 적용해야
일부 편집국장들은 육성법 제정에 앞서 현행법 테두리 내에서 감시장치를 제대로 가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웅일 광주타임스 편집국장은 지방신문 난립과 관련, “문화부가 현행법대로 윤전기 보유나 계약을 제대로 감시하면 시장 진입장벽은 높아졌을 것이고, 시장경제 논리를 엄격히 적용했다면 부실 언론사는 살아남지 못해 난립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소용호 전북도민일보 편집국장은 현재 지방신문의 위기는 “자본금 5000만원이면 누구나 신문사를 설립할 수 있고 기자 월급을 주지 않아도 규제하지 않은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활성화 방안 모색
이밖에 지방신문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수용자들이 지방신문을 찾도록 수용자 지원 방안을 만들자”(문경민 새전북신문 편집국장) “지방신문에 대한 대기업의 광고 할당제 실시” “사회 복지 차원에서 노인들의 지방신문 구독료 정부 보조”(김갑제 무등일보 편집국장) “언론재단 등을 통한 기자 재교육 강화”(박동철 경남신문 편집국장, 신수용 대전일보 편집부국장) 등이 제기됐다.
정부 광고도 빈익빈 부익부
정부 광고의 중앙지 집중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백성일 전북일보 편집국장, 송귀홍 경상일보 편집국장 등은 “정부가 공익광고를 낼 때 지방지를 차별한다”며 “과연 지방신문 육성 의지가 얼마나 있는지 의문”이라고 반문했다. 또 김홍균 한빛일보 편집국장, 백승훈 제민일보 편집국장 등은 언론재단이 정부광고 대행시 수수료 10%를 공제하는 게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통신사 자유경쟁 체제를
김정운 경북일보 편집국장은 “연합뉴스와 뉴시스를 자유경쟁 하도록 해 지방지들이 좀더 저렴한 가격으로 통신을 볼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진협 매일신문 편집국장은 “통신사가 조간 위주로 뉴스 제공을 해 대부분 석간인 지방신문의 뉴스가 부실해진다”고 지적했다. 백승훈 제민일보 편집국장은 “몇 개면을쓰든 연합뉴스에 내는 전재료가 일정한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