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는 최근 청사 5층에 통합기자실을 마련하는 방안을 확정하고 기사송고실과 브리핑룸 개수 및 규모에 따라 A, B, C 등 세가지 안을 마련해 규모와 효율성 등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홍보처가 구상하고 있는 세 가지 안 중 A안은 기사송고실 3곳·브리핑룸 2곳(50평, 40평), B안은 큰 면적의 개방형 기사송고실 1곳·브리핑룸 2곳(〃), C안은 기사송고실을 따로 두지 않고 각각 50, 40, 30평의 브리핑룸을 두는 것이다. 총리 기자실은 총리의 의중에 따라 존치될 예정이다. 통합기사실이 완성될 경우 현재 청사내부에 입주해 있는 행정자치부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부 출입기자들과 최근 입주한 여성부 출입기자들이 5층의 통합기자실로 이동하게 된다.
조영동 처장은 최근 행자 교육 통일 등 3개 부처 기자단 간사들과 회동해 이같은 홍보처의 입장을 전했으며 간사들은 통합기자실 및 개방형 브리핑룸 운영 등 총론적인 부분에는 찬성의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홍보처 남진수 행정경제홍보과장은 “세 가지 안 중 하나로 결정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환경 및 편의시설에 대해서는 기자단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면서 “하드웨어인 ‘구조’보다는 브리핑의 내실화, 기자·공무원의 가치관 변화 등 소프트웨어가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보처는 5월말까지 각 부처 및 기자단과 협의를 통해 기자실 구조를 확정한 뒤 6월 중순 언론사를 상대로 새로운 출입처 등록을 받을 예정이다. 또한 7월초부터 통합기자실 공사를 시작해 9월부터는 본격적인 브리핑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통일부 기자단 이영종 간사(중앙일보)는 “통일부 기자단은 홍보처 계획중 C안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면서 “통합기자실은 개방형의 취지를 살리면서 동시에 언론의 취재환경을 함께 고려해야 좌초하지 않고 제대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