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없는 기자회’ ‘프리덤하우스’ 등 국제언론단체의 한국 언론자유 평가와 관련 기준의 구체성이나 객관성이 결여돼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내언론도 자의적으로 이를 인용할 것이 아니라 비판적인 시각에서 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황치성 언론재단 출판팀장은 <신문과 방송> 6월호에 게재한 ‘국제언론단체의 한국 언론자유 평가와 국내신문의 보도’ 제하 글에서 이같은 문제를 거론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2003 세계 언론자유보고서’에서 한국의 언론자유 수준을 ‘세계 39위’라고 발표했으며 프리덤하우스는 ‘78개의 언론 자유국 중 70위’로 평가했다.
국경없는 기자회의 세계 언론자유보고서는 지난 2002년부터 지수화했다. ‘미디어 법제 환경’ ‘직접적인 언론인 가해행위’ ‘미디어에 대한 압력’ 등 5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배포, 해당 국가의 언론인, 외국특파원, 해당 국가의 언론 및 법 전문가, 국경없는 기자회 지부 소속 연구원들로부터 응답을 받는다. 프리덤하우스의 언론자유 지수조사는 해외 특파원 보고, 방문 자료수집, 인권 및 언론단체 보고서, 국제기구 보고서, 각 나라의 뉴스미디어 보도내용 분석과 전문가 평가 등으로 진행된다.
황 팀장은 “두 기관의 언론자유 평가 기준에 대한 근거자료나 산출근거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특히 응답자, 인용자료나 보고서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점을 지적했다. 국경없는 기자회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핀란드 네덜란드가 프리덤하우스 조사에는 각각 5위와 10위로 물러나 있고 프리덤하우스 조사에서 1위에 오른 스웨덴이 국경없는 기자회에는 7위로 돼있으며, 국경없는 기자회에서 92위에 머문 이스라엘이 프리덤하우스에서는 30위에 올라있는 등의 사례가 두 기관 조사의 신뢰성을 재고하게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01년 한국을 언론자유 감시대상국에 포함시켰던 국제언론인협회(IPI) 보고서 역시 중립성과 객관성 측면에서 문제의 여지가 많다고 분석했다. 황 팀장은 “IPI가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새로운 기자실 운영방안’ ‘정부의 오보에 대한 대응’ ‘시민단체 운동의 성격’ 등의 경우 비판적 입장을 가진 단체의 주장만을 인용하고 있어서 형평성과 객관성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