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재단과 카인즈에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는 이달 초 공동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유료화, 수익모델 개발, 저작권 보호 등 카인즈 공동활용방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지난 4월 언론재단과 뉴스 제공사간 워크숍에서 ‘카인즈 유료화’ 문제가 의제로 부각되면서 팀 구성이 본격화됐다. 앞서 신문사 인터넷자회사가 중심이 된 온라인신문협회는 2001년부터 카인즈 유료화에 대한 논의를 해왔다.
최진순 태스크포스팀장(대한매일 인터넷뉴스팀장)은 “현 카인즈 서비스 모델이 기사 무단도용, 뉴스콘텐츠 저평가 등에 일조했다는 인식 하에 뉴스 콘텐츠의 시장가치를 극대화하는 모델을 찾자는 취지로 카인즈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카인즈 유료화’는 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들은 카인즈의 유료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다. 지난 3월 언론재단이 카인즈 기사검색 유료화에 대해 뉴스제공사 68개사에 찬반을 묻자 응답한 43개사 중 30개사가 찬성(반대 10, 응답률 63.2%) 의견을 밝혔다. 찬성 이유로는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해(9) △기사콘텐츠는 유료라는 인식 변화 및 기사 가치 인정(7) 등이 우선 순위로 나왔다. 반면 반대 이유로는 △정보는 공유돼야(6) △시기상조 및 언론재단 성격(4) 등이 꼽혔다.
좀 더 들어가 보면 카인즈 유료화에 대한 언론사별 시각차가 존재한다. 규모가 큰 사는 장기적으로 자체 뉴스의 유료화를 위해 카인즈의 무료 서비스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작은 신문사는 우선 자체 수익모델 부재에 따라 카인즈 유료화 모델이 자사에 유의미한 보탬이 될 것이란 기대를 한다. 단 저평가돼 있는 뉴스 콘텐츠의 가치를 재고해야 한다는 것은 공통된 입장이다.
그러나 카인즈의 공익성, 콘텐츠 유료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반감 등을 고려할 때 실현가능성에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언론재단 데이터베이스팀 관계자는 “카인즈가 공공서비스 차원에서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유료화가 조심스러운 데다가 과연 유료화했을 경우 이용자들이 얼마나 이용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들어갈 경우 뉴스 제공사간 유료화에 대한 의견이 달라 조율 문제가 불거질 수도 있다. 한신문사 닷컴 관계자는 “카인즈 유료화가 언론사에 미칠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검토하는 중”이라며 “카인즈가 유료화 상태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상대적으로 뉴스제공사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될 태스크포스팀은 카인즈 유료화 외에 뉴스제공사의 저작권 보호에 대한 공동대응, 기업체에 뉴스를 판매하는 등 수익모델 개발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