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뉴스가치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27일 한국신문방송인클럽(회장 이형균)이 주최한 ‘기자실 개방 이후의 취재현실’이란 토론회에서 김영욱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발제를 통해 “신문 방송은 저널리즘의 필요성과 유익성에 대해 독자와 시청자를 설득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현재의 취재방식을 탈피해 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취재시스템의 전환에 앞서 뉴스가치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이루어져야 한다”며 “과연 독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며, 독자에게 필요한 것은 어떤 기사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신당이니 구주류니 하는 문제들이 현재 신문에 반영되는 지면만큼 독자의 삶에 중요한가”라고 반문하면서 “하루나 이틀 후면 밝혀질 주요 공직자 인사를 먼저 보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또 ‘기자실, 기자단, 출입처 중심’의 현행 기자실 제도의 문제점을 저널리즘 측면에서 △편향성 △뉴스가치의 왜곡 △집단적 무책임성 △전문성 부족과 하향 평준화 등 4가지로 분석했다. 그는 현행 기자실 제도는 “△출입기자와 출입처가 동일화돼 편향적인 보도를 할 위험을 초래하고 △기자단을 중심으로 ‘틀려도 같이 틀리자’는 심리를 작용하게 하며 △전문성이 부족해도 출입처와 관련되는 사안을 취재하고 그럴듯한 기사를 작성할 수 있는 온실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