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사회갈등 보도 '공정성' 모색

KBS기협, 노동계 파업 보도준칙 제정 추진

서정은 기자  2003.07.02 00:00:00

기사프린트

KBS 노조와 일선 기자들이 사회갈등 및 노동계 파업 보도에서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보도준칙 제정에 나섰다.

KBS 노사가 지난 5월 ‘노동관련 보도에 대한 공정방송 일반 기준’을 마련한다는데 전격 합의하면서 기자협회 KBS 지회(지회장 손관수)는 지난달 25일 노동·사회갈등 관련 보도준칙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화물연대 파업, NEIS 사태 등 사회적 갈등이 점차 첨예하게 나타나고 있는데도 방송뉴스가 여전히 원인에 대한 심층분석보다는 갈등을 조장하거나 부정적 파급 효과만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발제를 맡은 송종길 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은 NEIS와 화물연대 파업 관련 TV 뉴스를 분석한 결과 △초기부터 원인과 배경에 대해 적절하게 다루지 못했고 △갈등 전개 양상과 파급효과에 대한 부정적 성향의 보도가 많으며 △해결책과 대안에 대한 심층보도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송 연구원은 “사회적 갈등은 지나치게 부정적·대립지향적 접근을 지양하고 해결에 초점을 두고 보도해야 한다”며 “각 방송사들이 갈등 이슈를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낙구 민주노총 교육선전실장도 “사회갈등은 상당부분 예측가능하고 어느 정도 예고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언론이 해야 할 역할이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KBS 기자들은 사회적 갈등에 대한 심층보도와 의제설정의 어려움부터 획일화된 파업보도 공식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용태영 KBS 사회부 차장은 “갈등의 초기단계에서는 파장이 어떻게 번질지 모르기 때문에 심층보도를 하기 어렵고, 모든 사회적 갈등을 초기부터 보도하려면 1시간 뉴스도 모자를 것”이라며 “방송뉴스가 의제설정을 통해 어떤 방향성을 취하는 것 역시 위험하다”고 말했다.

김현석 KBS 노조 공방위 간사는 “기자들은 ‘파업으로 인한 시민불편’ ‘경제적 피해’ 등 기존 보도 관행에 따라 팩트를 전달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며 “경총과 재계에서 발표한 피해 액수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보도하는 것 자체가 편향일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오훈 노조 공방위 간사도 “국내 파업보도는 변죽만 울리고 쟁점과 원인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며 “‘파업 진행양상’ 및‘부수적인 불편과 피해’라는 지나치게 획일화된 뉴스공식을 재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손관수 KBS 기자협회장은 “KBS가 파업사태와 시위, 노동관련 및 소외계층에 대한 보도가 취약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공영성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토론회를 마련했다”며 “앞으로 내부 논의를 거쳐 노동·사회갈등 보도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