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이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를 놓고 경합을 펼치던 벤쿠버에 3표 차의 아쉬운 ‘석패’를 했다. 국가 이미지 제고와 경제적 이득을 생각하면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더욱이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낙후된 지역개발에 기대를 모았던 주민들이 갖는 서운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기대감이 컸던 탓일까, 표 차이가 적었던 이유일까.” 유치실패에 따른 책임소재의 공방전은 점입가경을 이루며 연일 언론의 머릿기사를 장식하고 있다. 언론은 여전히 책임을 짊어질 제물의 대상을 찾느라 눈을 번득이며 인용과 비실명인의 말을 통한 기사를 남발하고 있다. 급기야는 “무주가 늦게 양보를 해 평창이 유치운동을 할 시간이 짧았고 그것이 유치 실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라는 식의 지역 이기주의를 부추기는 보도까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평창을 대표하는 김용학 국회의원, 유치단의 정부관계자, 김운용 IOC위원 등등의 볼멘소리를 보도하기 앞서 과연 한국의 언론은 88올림픽이나 월드컵 유치 때와 비교해 국민들의 여론을 어떻게 모아 이번 유치 전을 치렀는가 뒤돌아보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제물 찾기’의 급급함에 앞서 또다시 의도적 논쟁유발로 지역감정과 당쟁의식을 부추겨 득을 보자는 정치공학의 일환으로 변질되는 것이 아닌지 한번쯤 짚어봐야 할 것이다.
특히 유치실패에 따른 책임 소재 공방과 같은 소모적 논쟁 보다 ‘평창’에 무엇이 부족했는지를 냉정하게 재검토하는 것은 물론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권을 무주에 넘긴다는 약속을 한 상태에서 앞으로 전개될 무주-평창의 분쟁을 피하기 위한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노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정인 때리기’와 같은 책임회피성 보도와 제물 삼기 시도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난망함은 물론 무주-평창간 분쟁 악화와 지역감정 심화, 그리고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적 당파싸움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것이 너무나 자명하기 때문이다.
AP통신의 한국발 타전과 함께 외국으로 전해지는 우리네 동계올림픽 책임공방전이 아무쪼록 그만 울려 국가적 안타까움이 배가되지 않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