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새만금 간척사업 보도에 대해 언론학자들은 △일관성 부족 △뒷북보도 △대안제시 부족 등의 문제점을 꼽았다. 국책사업에 관한 한 사업결정 전에 언론이 심층보도를 하고 전담기자를 배치해 한 사안에 대해 꾸준히 점검하고, 원칙있는 입장 정리를 하는 것이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3일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전국언론노조가 공동 주최한 ‘새만금 관련보도 이대로 좋은가’란 토론회에서는 새만금 보도에 대한 모니터 결과발표 및 국책사업에 대한 언론의 바람직한 보도태도가 논의됐다.
▲방송보도=김창룡 인제대 언론정치학부 교수는 발제를 통해 “사업결정 15년이 흐르고 물막이 공사마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나오기 시작한 심층보도는 전형적인 뒷북 보도”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1987년 새만금사업 결정 당시 KBS MBC는 심층보도 없이 발표저널리즘에 따라 장밋빛 꿈을 부풀렸다”며 “98년 정부의 새만금사업 전면재검토 결정이 나왔을 때도 토론회 한번 준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두 방송사의 정부 행사 위주 보도, 지지와 반대를 오가는 엇갈린 논조 역시 문제점으로 꼽았다. 반면 SBS는 98년말 ‘새만금 이대로 안된다’는 시리즈를 통해 심층보도를 해 돋보였다고 덧붙였다.
올들어서는 ‘3보1배’로 인해 보도량은 많아졌으나 내용이 ‘어디까지 진출했다’는 식으로 지엽적인 문제에 그쳐 사업자체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공영방송은 국책사업에 관한 한 사업결정 전과 논의과정에서 토론회를 통해 심층분석하고 여론을 수렴하는 프로그램을 편성해야 한다”며 “정부의 개발논리에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양상에서 벗어나 환경단체 등의 소수 목소리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보도=김서중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신문의 새만금 보도에 대해 “역사성 있는 문제의식, 정확한 보도 노력, 대안제시적 보도 등에서 아쉬움을 남겼다”고 말했다. 사업결정 배경 등 역사적 조명보다는 현실 의제 따라가기에 바빴고, 개발 결과 발생할 경제적 이득이나 손실에 대한 엄밀한 분석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또 일부 신문의 △논조가 극과 극으로 변하는 등 일관성 부족 △이익집단간 대립구조로 몰아가기 △문제의 본질이 잔존하는 상태에서조기 종결론 제기 등을 비판했다. 특히 “세계일보는 ‘대규모공사 치고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경우가 없다’는 식으로 일관되게 반환경적 태도를 보였다”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대규모 국책사업의 경우 전문기자 또는 전담기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오상우 MBC 기자는 “환경부 출입기자의 경우 1년에서 1년 반이면 바뀌는 게 현실”이라며 “국책사업을 꾸준히 보도할 수 있는 TF팀이나 전문기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경애 환경운동연합 홍보팀장도 “새만금문제에 대해 한 언론사 내 환경부, 종로서 출입기자, 지역, 전국방송 등의 입장이 다르다”며 “통합보도가 가능한 팀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미희 미디어오늘 차장은 “현실적으로 전문기자 도입이 어렵다면 전담기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