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자 중앙일보 송진혁 논설고문의 칼럼 ‘이젠 정상정부로 가자’에 대해 청와대가 ‘이젠 정상언론으로 갔으면…’이라며 맞받았다.
청와대는 지난 8일자 ‘청와대브리핑’에 국정홍보 비서관실 명의로 ‘송 고문’에게 띄우는 공개편지 형식의 반박글을 실었다. 청와대가 언론보도에 대해 실명을 들어 비판한 것은 지난달 동아일보 최영해 기자에 대한 비판 이후 두 번째다.
청와대는 이 반박글에서 “(송 고문의 칼럼은) 지극히 편파적인, 보기에 따라서는 너무나 악의적인 의견을 사실인 것처럼 표현했다는 생각이 들어 몇 자 적는다”고 서두를 꺼냈다. 이 글은 편지형식을 빌어 정중한 모습을 취하고는 있으나 내용에는 상당히 강한 비판이 담겨있다.
송 고문은 이날 칼럼에서 “지난 넉 달 동안 노무현 정부는 ‘실험정부’의 성격이 강했다. …한·미 관계를 실험했고 친노 실험도 해 봤다. 386실험…코드실험도 진행 중”이라며 “한·미 관계를 흔들었다가 황급히 복구에 나섰지만 아직도 불안요소가 감돌고 있고, 노조를 감싸는 친노 실험 역시 법과 타협 사이를 오락가락하다가 국민적 비판에 직면했다. 386과 코드실험은 청와대의 기강해이, 정부 내 팀워크 혼선 등을 일으키면서 아마추어리즘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청와대는 “송 고문이 ‘정상정부를 바라는 마음이 충심이라면 기본적인 사실관계에 대해 다시 심각하게 생각해 봐야할 듯 싶다”며 “국정을 가지고 실험을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리고 “실용주의 외교를 통해 한·미동맹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참여정부가 생각하는 법과 원칙은 사회갈등을 대화와 타협을 통해 풀어나가되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는 것” “386과 코드실험 주장은 엉성한 논리”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송 고문은 또 이 칼럼에서 “말을 믿게 하라” “싫은 신문도 읽어라” “약속을 지켜라” 등 노 대통령에 대한 원로들의 충고를 소개하며 “어린이를 타이를 때나 할 법한 말들이다. 대통령에 대한 충고가 이런 수준, 이런 내용이라는 것 하나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청와대는 “정말 이해가 안되는 대목”이라며 “국정운영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을 어린아이 다루듯 훈계한다면 대통령을 뽑은 국민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분노부터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반문했다.
청와대는 또 송 고문에게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언제든지 흔쾌히 받아들일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일부 비판은 국정운영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을 웃음거리로 몰아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든다”며 “비판도 최소한의 상식과 윤리의 원칙은 있어야 상대방이 받아들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