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유구조 개혁할까요? 사주가 있는 게 언론 다루기 더 쉽겠지요. 문제가 있을 때 굳이 여기저기 건드리는 것 보다 사주하고만 잘 얘기되면 그만일 테니까."
한 신문사 고위 관계자와 만난 자리에서 나온 말이다. 양면이 있는 얘기다.
정부의 언론통제 우려와 함께 언론사주가 차지하는 절대적인 위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됐다.
홍석현 사장 구속을 전후한 중앙일보 대응에서도 사주의 문제가 겹쳐진다. 중앙일보는 사장 구속이 중앙일보 죽이기로 이어지는 언론탄압이라고 규정했다.
정부에서는 원칙론을 강조하지만 여전히 개연성 있는 주장이다. 중앙일보 입장은 사장이 처벌받을 건 받더라도 정권의 탄압에 맞서기 위해 경영·편집권은 단호히 수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기자는 "사장이 바뀐다는 것은 중앙일보의 전 지면이 바뀌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지켜야할 지면 논조가 어떤 것이든 역설적으로 경영·편집에 대한 언론사 사주의 위상을 반증하는 말로 들린다.
안팎의 압력에 지면이 침범 당하던 시절과 결별하고 진정한 독립언론을 선언하는 중앙일보 기자들의 노력을 평가 절하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 대한 규정을 떠나 언론사주의 문제, 소유구조 민주화는 여전한 언론개혁 과제로 남는다.
사주의 영향력을 축소하고 경영과 편집을 분리하는 것이 정권의 언론탄압 기도를 막는 최선책이기도 한 것이다.
깊은 뜻이야 어떻든 소환되는 사장을 지켜보며 '힘내세요'를 외치는 장면 보다는 '우리 지면은 우리가 만든다'며 결의를 다지는 기자들의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