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합 '사장추천위 구성' 명문화

뉴스통신진흥회 통한 낙하산인사 사전차단

박미영 기자  2003.07.30 00:00:00

기사프린트

뉴스통신진흥회가 연합뉴스 사장 추천시 별도의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키로 함에 따라 연합뉴스의 정치적 독립성과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

뉴스통신진흥회 설립위원들은 지난 10일 3차 회의에서 “정치권력으로부터의 독립성 확보를 위해 사장추천위 구성을 명문화하자”는 노조의 제안에 따라 “이사회는 연합뉴스의 대표이사를 추천할 때 공공성 있는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는 내용을 진흥회 정관에 포함시키기로 최종 합의했다. 일부 설립위원의 경우 “이사회의 권한을 제약하는 요소가 있다”며 사장추천위 구성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 논란이 일기도 했으나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노조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로 의견을 모은 것. 이같은 내용의 정관은 문화관광부의 인가를 받아 최종 확정된다.

뉴스통신진흥법에 따르면 뉴스통신진흥회 이사는 대통령 추천 2명, 국회 추천 3명, 신문협회 추천 1명, 방송협회 추천 1명 등 모두 7명으로 구성되며, 연합뉴스의 사장 추천 및 경영 감독, 예·결산 승인 등의 권한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으로 뉴스통신진흥회가 구성될 경우 연합뉴스는 정치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제2의 방송위원회’로 전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위원장 윤근영)는 “이런 구성비율의 진흥회가 사장을 뽑는다면 지난 80년 이후 끊임없이 이어졌던 밀실, 정실, 낙하산 인사가 뉴스통신진흥회라는 합법적 통로를 통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사장추천위 구성을 정관에 명문화할 것을 요구했다. 노조는 특히 올해 초 사장 선임 과정에서 사원 대표가 참여하는 공공성 있는 사장추천위를 구성, 독립적으로 사장을 선임한 성과가 후퇴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합뉴스는 당시 △연합뉴스 사원대표 1명 △대주주인 KBS 추천 1명 △MBC 추천 1명 △언론인단체 추천 1명 △시민사회단체 추천 1명 △시민언론단체 추천 1명 △언론학계 추천 1명 등 모두 7명으로 사장추천위를 구성한 바 있다.

한편 노조는 지난 22일 ‘뉴스통신 진흥회 이사선임에 주목한다’는 성명을 내고 “뉴스통신의 장기적이고 근본적 발전보다는 특정 정당의 당리당략을 중시하는 인물, 정치권에 직·간접적으로 몸담고 있는 인물은 진흥회 이사가 돼서는 안된다”며 △정치적 중립성△뉴스통신에 대한 이해 △도덕성 △개혁성 등을 갖춘 인물로 이사들을 추천할 것을 촉구했다. 진흥회 이사 추천은 법이 시행되는 8월 30일에 앞서, 내달 중순까지는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도 이와 관련 진흥회 설립위원 명의로 국회와 방송협회, 신문협회 등에 이사추천을 촉구하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박미영 기자 mypark@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