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는 굿모닝시티로부터 거액을 받은 정치인의 실명을 거론했던 지난 16일자 보도에 대해 24일자 1면에 정정보도와 사과문을 실은 데 이어 내달 1일경 징계위원회를 열어 오보 책임을 묻기로 했다.
김학준 동아일보 사장은 지난 25일 임원 및 실국장이 참석하는 임시 경영간부회의를 소집해 “제작과정에서 빚어진 실수이긴 하지만 이번 일로 회사의 명예가 크게 실추된 만큼 관련자에 대해서는 징계위원회를 통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또 “문제의 보도는 조작이나 날조가 아니라 제작과정에서 실수로 인해 빚어진 것”이라며 “기사가 사실과 다르다면 독자와 보도 당사자에게 깨끗이 사과하는 것이 책임있는 언론의 자세라는 판단을 내려 정정-사과보도를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면
동아일보 한 관계자는 “징계위원회에는 편집국장, 보도 당일 야간국장(부국장), 정치부장, 기사를 작성한 윤모 차장 등이 회부됐다”며 “1일로 예정됐으나 변경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징계 결과는 8월로 예정된 편집국 인사에도 자연히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번 오보 사태가 동아일보의 논조, 취재시스템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거리다. 이규민 편집국장은 “재발방지에 대해 고민하는 중”이라며 “제도적으로 기사의 완벽성을 갖추는 시스템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집국 한 간부는 “기사에 대해 변호사와 정례적으로 상의하고, 야간에도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는 안이 한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건이 거친 동아일보의 논조를 가다듬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동아일보 한 기자는 “오보의 직접적인 원인은 취재기자와 데스크의 과실에 있지만 그간 지속된 정권에 비판적인 논조가 기사 요건이 불충분한 기사를 키우게 한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이같은 인식에 공감하는 젊은 기자들이 다수 있지만 아직까지 아래로부터 발전적인 논의가 시작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9일 발행된 동아일보 사내보 ‘동우’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내에서 △100% 신뢰를 줄 수 있도록 전기를 마련하자 △엄격한 게이트키핑이 필요하다 △‘기본에 강한 신문’을 만드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