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의 빈도와 내용 등이 주택시장안정대책과 같은 정부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성태 머니투데이 편집국 부국장은 ‘언론이 정책의제설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제하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정책의제설정과정에서 정책참여자 개인의 특성변수(근무연한, 직위, 소속부서)에 따라 언론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면서도 “주택정책에 있어서는 관련 정책부서의 자체적인 판단보다는 언론의 보도 빈도와 내용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박 부국장은 분석대상 5개 신문의 보도건수 767건을 기사내용과 기사형태로 분류, 이러한 언론의 보도가 정부의 주택의제설정과정에 얼마나, 어떻게 영향을 미쳤나를 조사한 결과 정부가 2002년도 시행한 ‘주택시장 안정대책’인 3·6대책과 9·4대책의 형성 과정에 각각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설문조사의 경우 공무원과 언론인을 상대로 실시되었는데, 정책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비공식 참여자로 공무원은 58.9%를, 기자는 53%를 각각 언론으로 지목했다. 특히 주택정책의 경우에는 공무원과 기자가 각각 64.8%와 68.0%로 언론을 지적해 평균치 이상의 영향력이 행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부국장은 “언론의 영향력과 언론보도의 빈도, 비중이 클수록 정부 주택정책의제설정과정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며 이에 따라 “언론의 보도가 과장되거나 왜곡될 경우 정책 판단이 흐려질 수도 있어 언론의 정확하고 신중한 보도태도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