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의 기사를 둘러싸고 강원도 공무원직장협의회(공직협)와 출입기자단 사이에 갈등기류가 흐르고 있다.
갈등은 지난달 31일 한겨레에 보도된 “수해예방 뒷전이고 휴가부터 챙기나”라는 제하의 기사에 대해 공직협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표면화됐다.
한겨레 김종화 기자는 당시 기사에서 “강원도 재해업무 관련 핵심 간부들이 집중호우 등의 재해가 빈발하는 시기에 모두 휴가를 떠나 빈축을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사를 접한 공직협은 성명을 발표해 “강원도의 정체성을 부정하여 도민은 물론 전체 국민들로 하여금 도정을 불신토록 하는 행태를 보인 감정적 기사”라고 반발했다. 공직협은 지난 1일에는 도청 기자실을 찾아 김 기자에게 항의했으며 5일에는 한겨레 서울본사를 방문, 김이택 사회부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공직협은 이 자리에서 해당기사에 대한 정정보도와 김 기자에 대한 인사조치를 요구했으나 한겨레는 “인사조치는 공직협에서 관여할 바가 아니며 정정할 내용이 없다”는 입장을 공직협측에 이메일로 전달했다.
한편 김 기자도 공직협의 성명서중 “자신에게 돌아오는 혜택이 상실돼 지휘부에 자신의 몫을 요구하다 거부당해 억하심정에 의한 감정적인 기사로 볼 수밖에 없다”는 문구, 공직협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라있는 비방글 등과 관련 공직협 회장과 임원 13명을 명예훼손 혐의로 강원지방경찰청에 고소해 현재 수사가 진행중이다. 기자단 역시 지난 11일 회의를 갖고 기사 자체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김진선 도지사 등 지휘부에 전달했다. 간사를 맡고 있는 변영주 기자(국민일보)는 “공직협과 도지사에게 유감을 표명하고 더 이상 사태가 확대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모았다”고 말했다.
공직협 이상호 회장은 “악의적으로 왜곡된 기사라는 생각에는 변함없다”면서도 “성명서 일부 문구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기자와 공직협 모두 “끝까지 간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결국 이번 사태는 법원의 판결을 기다릴 수 밖에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