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방송사노조, DTV전환 일정 중단 촉구

무기한 철야농성 돌입

서정은 기자  2003.08.20 11:02:23

기사프린트

방송사 노조와 기술인들이 디지털 전환 일정 중단을 요구하는 총력투쟁에 돌입했다.

방송사노조협의회와 방송기술인연합회는 지난 19일 방송회관 앞에서 ‘디지털전환 일정 전면 중단’을 요구하는 결의대회를 갖고 무기한 철야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정통부가 채택한 미국식 전송방식 변경을 요구해왔으나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미국 방송협회가 채택한 미국방식 개선안조차 이동수신이 불가능하고 수신율도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며 “미국방식을 채택한 우리나라도 방식 변경에 대한 재검토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른 만큼 방송위원회는 디지털 전환 일정을 전면 중단하고 방식 변경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방송위가 향후 40여년간 방송정책을 좌우할 디지털 전송방식 문제에 대해 ‘정통부 책임사항’이라며 스스로의 책임과 역할을 방기하고 있다”며 △디지털 전환일정 중단 △디지털 전환 정책 전면 재검토 등 방송위의 적극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했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도 이날 성명을 내고 디지털 방송방식과 관련 국가 기간방송인 KBS의 결단을 촉구했다. 민언련은 “그동안 MBC는 방식변경을 일관되게 주장해왔고 SBS 내부에서도 방식변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며 “방식 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KBS가 정통부 관료와 업계의 이해에 끄달리거나 눈치보지 말고 시청자와 국민의 입장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집회 참석자들은 경남민방 설립의 부당함을 제기하며 방송위원회가 경남민방을 허가해선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부산방송과 울산방송에 이어 경남민방까지 허가한다면 가뜩이나 열악한 지역방송의 존립 자체를 위태롭게 만들 것”이라며 “방송위원회는 ‘광역화’와 ‘1도 1사’ 원칙에 따라 경남민방 설립을 불허하고 지역민방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방송위원회는 오는 25일부터 3일간 워크숍을 갖고 △DTV 전환일정 △경남민방 설립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 등 방송계 주요 정책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