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아-조선 일제 합의폐간 논란

서정은 기자  2003.08.20 00:00:00

기사프린트

KBS ‘한국사회를…’ 보상금 근거 주장

동아·조선 “역사자료 왜곡했다” 반발







지난 16일 방영된 KBS ‘한국사회를 말한다’-‘일제하 민족언론을 해부한다’ 편에서 1940년 8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폐간이 합의에 따라 돈을 받고 이뤄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해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사회를…’은 이날 방송에서 동아일보 일장기 말소사건의 진상, 37년 친일논조 전환을 결정한 조선일보 간부회의, 조선총독부가 분석한 조선·동아 논조 등을 소개한 뒤 조선·동아의 폐간 이후 총독부로부터 지급된 보상금과 관련 문서를 근거로 합의폐간 의혹을 제기했다.

‘한국사회를…’은 당시 제국의회 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미 38년부터 △물자절약의 필요성 △(총독부 기관지)매일신보나 조선·동아의 지면 획일화 등을 이유로 두 신문의 폐간이 검토된 사실을 밝혀냈다. 또 설비와 영업권을 보상하기 위해 조선과 동아를 각각 80만원과 70만원으로 매수하고 새 직장을 알선하는 방안을 계획했던 내용도 소개했다. 실제로 ‘조선일보 80년사’에 따르면 총독부 경무국이 윤전기 대금으로 조선 80만원, 동아 50만원을 지급한 내용이 나와 있다.

‘한국사회를…’은 “두 신문이 항일 논조 때문에 강제 폐간됐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두 신문이 돈을 받고 폐간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백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강제 폐간이었다면 상당한 액수의 윤전기 대금을 지급한 이유가 무엇이냐”며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조선일보는 지난 18일 ‘KBS, 주말마다 조선·중앙·동아 비판’ 기사에서 “제작진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폐간이 사실상 총독부와의 합의로 이뤄졌다고 주장하면서 총독부가 작성한 ‘언문신문 통제안’을 증거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 신문들이) 적극적 불온성은 줄었으나 소극적 불온성은 지속되고 있다…언젠가는 민족의식이 횡일하여 매일신보를 복멸하는 지경에 이를 수 있다’는 내용은 방송하지 않았다”며 기획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동아일보도 지난 18일 한국외대 정진석 교수의 칼럼 ‘KBS의 역사자료 왜곡’을 통해 “총독부가 얼마나 치밀하고 은밀하게 두 신문의 폐간을 획책했는가를 보여주는 문건인데 KBS는 ‘합작’에 의한 폐간으로 잘못 해석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은 지난 19일 논평을 내고 “조선과 동아는 두신문의 반일 논조 때문에 폐간된 것이 아니라는 KBS의 문제제기에 대해서는 대답을 피하며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의도성을 거론하며 딴죽을 걸기에 앞서 일제 시기 자사의 행적부터 소상하게 밝혀 과거 친일행적이 있었다면 이를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