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남북관계 보도 한반도 중심으로"

민언련 '위기속 남북관계, 언론보도…' 토론회

조규장 기자  2003.08.20 00:00:00

기사프린트

미 보도자료 의존…본질 파악·구조적 분석 미흡





남북관계 보도에 있어서 한반도와 우리민족을 중심에 놓는 보도태도와 시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4일 민언련이 주최한 ‘위기 속 남북관계, 언론보도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없는가’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서재정 코넬대 정치학과 교수는 “부시 정부의 정책을 비판적으로 보도하는 기사들조차 한반도와 우리민족을 중심에 놓는 시각을 결여하는 경우가 많다”며 “언론 본연의 임무인 사태 예측과 대응을 위해 총체적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서 교수는 “한국언론이 대부분 미국의 보도자료에만 자족하는 경향이 있어 위기의 본질을 살피는 구조적 분석이 미흡하다”며 “북핵 또는 한반도 문제로만 국한시키지 말고, 동북아 전반의 안보나 미국의 세계전략과 맞춰가면서 총체적으로 연구, 보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또 “부시 행정부의 양대전쟁전략과 대량살상무기퇴치전략이 남북의 의지와 관계없이 한반도 전쟁가능성을 높이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며 “우리 언론의 과제는 바로 이 두 전략의 본질과 이행과정을 추적하고 제대로 알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과 방송보도를 비교 분석한 윤호진 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은 북한 핵 문제와 관련, 일부 언론이 갈등을 필요 이상으로 증폭시키고 한반도 정세의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연구원은 특히 조선과 중앙의 기사와 사설이 대체로 △잘못된 사실,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확실한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는 점 △갈등적·대립적 대결구도를 강조하면서 힘의 논리에 의존한 해결방식을 은연중 선호하고 있다는 점 등을 문제삼았다.

윤 연구원은 대부분의 언론들이 피상적인 갈등위주로 보도하는 데 익숙해 있다고 지적하면서 “북핵 관련 보도는 직접적 당사자인 북한과 미국의 책임자, 주변관계자, 전문가 등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현안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 전개과정, 숨은 의도 등 맥락에 대한 이해 과정이 뒤따라야 한다. 또 향후 전개방향과 대응방안을 다각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토론자들은 언론의 ‘위기불감증’, 북핵 관련 보도의 상업성과 이념적 편향성 등을 지적했다.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위기가 있으면 있다고 말하는 게 올바른 저널리즘”이라며 “우선 한반도 위기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제시와 연구가 필요하고 상황이 어떤지 냉정하게 보여주는 게 옳다”고 말했다. 이인용 MBC 남북문제 전문기자는 “북핵문제만 나오면 채널이 돌아간다는 말이 있다”며 “상업성 때문에 깊이 있는 분석이 불가능할뿐더러 뉴스제작자도 알게 모르게 상업적 동기에 빠져 갈등구조로 몰아간다”고 말했다.

기자의 전문성 제고가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강태호 한겨레 기자는 “대부분의 기자들이 1∼2년 단위로 역할을 바꾸는 상황에서 한반도 위기라는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문제를 다면적 심층적으로 접근하기란 쉽지 않다”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밝혔다. 이인용 MBC 기자도 “북핵문제를 제대로 보도하려면 기자의 전문성이 우선 필요하지만 우리언론의 내부 구조는 상당히 취약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