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홍석현 사장 구속에 대한 다른 신문들의 보도 태도는 대체로 '강 건너 불구경'이다. 그렇다면 신문 논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발행인들의 생각은 무엇일까?
신문 발행인들의 모임인 신문협회(회장 방상훈 @ 조선일보 사장)는 지난 5일 서울 지역 회원 간담회를 열어 이 문제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방 회장의 긴급 제안으로 이루어진 이날 간담회에는 12개 신문사 발행인이 참석했으며, 경향신문 한겨레 서울경제 발행인은 불참했다. 이 모임의 내용이 어떤 경로로든 청와대에 전달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발언이든 침묵이든 혹은 불참이든 그 자체로서 메시지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먼저 40여 분간 회의를 주재하면서 상대적으로 발언 기회가 많았던 방상훈 회장은 '언론 자유'를 역설, 정부의 '홍석현 사장 구속' 메시지에 내포돼 있을지 모를 '본보기용'에 공동 대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쳤다. 방 회장은 "각 신문사에서 IPI(국제언론인연맹)와 WAN(세계신문협회) 등 기구의 성격을 잘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사화에만 치중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 뒤 자제를 요청했다. 방 회장은 또 IPI에서 보낸 서한의 취지는 "혐의가 인정되기 전까지 불구속 수사가 원칙인데 구속부터 시킨 것에 대해선 안타까운 일"이라고 소개했다.
타사 발행인들은 언급이 거의 없었으며 "이미 사설로 나간 내용이 회사 입장 아니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 대한매일 차일석 사장과 연합뉴스 김종철 사장이 '언론 길들이기'가 아닌 '탈세 사건'이란 소신을 밝힌 것은 이날 간담회가 대정부 압력용으로 작용해선 안된다는 뜻을 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중앙일보 사태를 지켜보는 신문사 발행인들이 실제로 '강 건너 불구경'을 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이날 간담회는 '언론 길들이기'냐 '단순 비리 처벌'이냐의 논란에 앞서 중앙일보에 떨어진 불똥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발행인들의 시위용이라는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