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6개월을 맞은 문화일보의 ‘취재 부전공제’가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활성화 면에선 낮은 점수를 받고 있다.
문화일보는 지난 3월 부족한 인력을 보완하고 기자들의 소질을 활용하자는 취지로 취재 부전공제를 도입했다. 국제부 기자가 문화부의 북리뷰를, 사회부 기자가 만화평을, 조사팀 기자가 인물면 인터뷰를 본업 외에 ‘추가로’ 담당하는 식이다. 물론 희망자에 한하고 소속 부서에서 주어진 본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조건이다.
취재 부전공제 실무를 담당하는 박광주 부장은 “무엇보다 적성과 무관한 일을 하는 기자들에게 소질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주자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국제부에서 과학전문 서적의 북리뷰를 부전공으로 하고 있는 구정은 기자는 “북리뷰팀장과 상의해 1∼2주에 한번 정도 관련 기사를 쓴다”며 “취미가 업무에 도움된다는 면에서 ‘사적 자산’을 ‘공적 자산’으로 만드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시행 취지에 걸맞게 활성화하지 못했다는 아쉬움도 있다. 실제로 20명 남짓 부전공제를 신청했지만 현재 적극 활용하는 기자는 30% 가량이다. 부전공제를 신청했던 한 기자는 “좋은 제도이지만 애초부터 한계가 있었다”며 “기자들의 본업무 부담이 크고 출입처 중심으로 정보가 나오는 현행 시스템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기자는 “담당기자가 극소수인 전문분야의 경우 부전공 지원을 하더라도 담당기자가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편집국 한 부장은 “당초 취지대로라면 데스크가 타부서원인 부전공 지원자와 지면 계획을 짜고 회의도 함께 해야 하는데 처음보다 관심이 떨어진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자연히 회사 차원에서 ‘취지’를 살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진다. 한 기자는 “내근 부서의 경우 취재비 부담도 있다”며 “회사 차원에서 시행 6개월에 대한 중간 점검과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주 부장은 “시상 등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