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화두’다. 물론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하지만 참여정부 들어 `지방’이 더 큰 화두가 된 것은 `지역균형발전’을 국정지표의 하나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지방 발전이 헛구호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징후는 여러 곳에서 포착된다. 행정수도 이전은 논외로 치더라도 기자가 담당하고 있는 대학에도 `지방화’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RIS)’구축도 그 가운데 하나다.
지방대 혁신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그것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지역을 순회하는 로드맵이 한창이며 기자가 텃밭으로 삼고 있는 대전에서도 이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된 바 있다. 나처럼 게으른 기자에게 굵직한 국가정책과 지역 현안이 상호 소통하는 부분은 좋은 `기사거리’가 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항상 뒷맛이 개운치 않다. 국가정책과 지역의 요구가 상충하기 때문이다. 국가정책을 비중 있게 다루다 보면 지역의 실정이 못마땅하다. 지역의 목소리에 무게를 싣다보면 국가정책이 모순으로 비쳐진다.
고백컨대 기사 대부분은 지역의 실정을 우선에 둔다. `지역 이기주의’나 지나친 `주관성’에 의존하지 않는 경우라면 대부분은 그렇게 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얼마전 교육부는 교수확보율에 따라 편입학 규모를 달리 하겠다는 발표를 하면서 이럴 경우 지방대가 수도권 보다는 더 많은 인원을 뽑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왔다. 하지만 기자의 생각은 정반대다. 지역 대부분의 대학(국·사립을 막론하고) 교수확보율이 60% 안팎의 수준에 불과하다. 인원을 많이 뽑으려면 교육여건을 개선하라는 교육부의 주문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편입학 제도개선을 마련한 당초 취지가 새삼스러울 뿐이다.
중앙과 지방의 끊임없는 `길항(拮抗)’작용을 다룰 수밖에 없는 것이 지방지 기자의 업보라면 달리 할말은 없겠으나 항상 `객관성’을 놓고 외줄타기를 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피곤함이 앞선다. 가끔은 `이래서 할 일이 있겠구나’라며 위안을 삼기도 하지만….
또 아주 가끔씩은 지방의 입장에 서는 것이 결국 전체를 위하는 것과 직결되는 때가 곧 올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기도 한다. 아마도 그 때가 지역균형발전이 올바로 정착된 때이리라. 하지만 당분간 피곤함이 쉽게 가시지는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