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민주당 심재권 의원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방송위원회와 각 방송사에 요청한 자료 가운데 노조활동과 관련된 부분이 언론계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심재권 의원은 지난 1일 방송위원회와 KBS MBC EBS를 상대로 지난 3년간 △노조 상근자 변화 추이와 명단 △노조비 총액 및 노조 자산 운영내역 △부서장급 이상 간부의 평균 승진기간과 노조 집행부 출신 간부의 평균 승진 기간 비교 △부서장급 이상 간부의 노조활동 경력 및 노조 가입 여부 등의 자료를 요청했다. 심 의원은 또 KBS와 EBS에 대해 ‘공영방송의 부사장이 과거 언노련 간부 출신인 것에 대한 입장’을 추가로 질의했다. 또한 KBS에 대해서는 ‘기술출신 부사장이 적절치 못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현 부사장을 임명한 이유를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와 KBS 본부, 방송위 지부 등은 각각 성명을 내고 “심 의원의 질문이 편향과 왜곡된 인식을 바탕으로 노조를 공격하기 위한 불순한 의도와 악의를 갖고 있다”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언론노조는 지난 2일 성명을 내고 “노조의 조합비 총액과 예산운영 내역은 회사를 포함한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게 돼 있는 노조의 기본 권리”라며 “심 의원이 이런 자료까지 요구하고 있는 것은 노조를 공격하기 위한 악의로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언론노조 KBS 본부도 이날 성명을 통해 “노조 전임자 출신들이 승진 등에 있어서 마치 특혜를 누리고 있는 것처럼 포장하고 싶은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며 “심 의원의 자료 제출 요구가 단순히 국감을 위한 자료수집 차원이 아니라 불순한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판단하고 강력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심재권 의원실 관계자는 “자료요청은 통상적인 업무일 뿐이며 이번 사안의 경우도 어떤 선입견을 갖고 요청한 게 아니다. 또 모든 자료 요청이 실제 국감 질의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며 “조합비는 세금의 일부로 받은 급여로 내는 것이고, 노조가 방송사 업무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회의원이 당연히 자료를 요청하고 논의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