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문 1단→5만5천원, TV 30초→76만4천원…

부산 연제구청 보도가치 계량화 논란

전관석 기자  2003.09.08 22:33:35

기사프린트

부산 연제구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행정 업무 계량화’ 제도의 객관성 여부에 논란이 일고 있다.

연제구청은 현재 구청 동사무소의 시책과 행사의 신문 및 가치를 언론사별 광고료 기준으로 계량화해 행정실적 평가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정부 광고기준율에 근거해 구정소식이 일간지에 보도됐을 경우 1단 3.5㎝에 5만5000원, TV는 30초당 76만4000원, 구청에서 자체발행하는 연제소식지 등 기타 간행물은 1단 3.5㎝에 5000원으로 계량화하고 있다. 연제구는 이를 상벌규정에 도입해 실적이 우수한 부서와 직원에게는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행정업무 계량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객관성이 보장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구청의 업무 특성상 언론에 자주 노출되는 정책·홍보관련 부서가 유리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이에 따라 언론보도에 따른 구청내 위화감이 조성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보도 필요성에 따라 취재원과 기자와의 부적절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제도는 몇 달 전 부산시청에서도 도입하려 했다가 백지화된 제도. 부산시 공무원 노조 한 관계자는 “객관성에 의문이 제기돼 도입단계에서 폐기된 제도”라면서 “직원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될 가능성이 높고 기자와 취재원 관계도 비정상적으로 흐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기자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 지역기자는 “업무에 대한 능동적인 홍보기능을 강화한다는 목적은 이해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불필요한 경쟁으로 인한 위화감 조성, 기자와 취재원의 비정상적인 관계 등 이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연제구청 문화공보과 공보계 전상훈 담당은 “언론보도에 따른 혜택에 부서별로 차이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3년 단위로 순환하기 때문에 문제없다”면서 “보도자료는 문화공보과를 통해서만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부서별 경쟁으로 인한 불필요한 홍보나 보도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관석 기자 sherp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