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언론사의 어려운 재정상황, 기자와 언론사의 비윤리성 등이 지역언론사와 자치단체 사이의 유착을 형성하는 대표적 원인으로 지적됐다. 또 지역 언론사들의 경제적 위기는 계도지, 지역주재기자 제도의 파행적 운영 등을 존속시키는 빌미가 되고 있다.
지난 4일 언론재단과 기자협회는 마산 사보이호텔에서 제31회 기자포럼을 열고 지역사회 관언유착 근절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발제를 맡은 양문석 언론노조 정책위원은 “언론과 지자체가 서로를 도구화하고 또 대립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전국지와 달리 지역지의 경우 자본과 정치권력보다 자치단체와의 유착이 더 심각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양 위원은 관언유착의 실태를 보여주는 최근 사례로 경인일보의 ‘제3회 경인우수기초단체장 및 기초의회’ 시상식 내용을 제시했다. 경인일보는 지난 7월 각 자치단체와 시의회에 각 분야별 우수단체를 선발하겠다는 공문을 보내 분야별로 100만원씩 참가비를 받고, 수상한 군수와 구청장의 인터뷰 기사를 내보냈다.
양 위원은 이같은 권언유착의 원인을 지역신문의 취약한 재정기반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편법과 탈선, 언론사와 기자의 비윤리성 등에서 찾았다. 양 위원은 “취약한 재정상황에서 비롯되는 관언유착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구체적인 대안으로 △지방 신문들의 족벌소유 개선 △편집권 독립 △신문고시 엄정 집행 △지역신문발전법 국회 통과 △공동배달제·공동인쇄제 모색 등을 제시했다. 언론사와 기자의 비윤리성에 의해 발생하는 관언유착에 대해서는 언론사 경영진과 편집국 및 자치단체와 시의회의 개선노력을 주문했다. 양 위원은 우선 언론사 자체적으로 실천해야 할 사안은 △기자채용방식과 월급 개선 △지역밀착 보도 구현 △전문경영제 확립 등을, 자치단체나 시의회의 역할은 △계도지 예산 철폐 △각종 이권과 비리의 온상으로 전락한 기자실 개선 등을 언급했다.
‘지방분권과 지역언론 활성화’를 주제로 발제한 김덕모 호남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도 계도지, 지역주재기자 제도, 현행 취재시스템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김 교수는 “광주전남지역 신문사들이 재무제표상의 엄청난 적자에도 불구하고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는이유 중의 하나가 자치단체들의 지속적인 계도지 구매”라며 “취재와 기사작성 보다는 신문판매와 광고수주에 매달려야 하는 주재기자들의 관공서 로비활동,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독점하고 정부기관도 기자단을 활용해 정책홍보에 나서는 등 관언유착의 고리로 활용되는 기자실 문제 역시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