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권여사 보도' 놓고 동아-청와대 '난기류'

청와대 "악의적 보도" 주장에 동아 특별취재팀 가동

박주선 기자  2003.09.24 11:25:55

기사프린트

동아일보와 청와대간 기류가 심상치 않다.

지난 21일 이병완 청와대 홍보수석이 동아일보 취재 거부를 선언한 데 이어 22일자 청와대브리핑은 동아 보도에 대해 “최소한 요건도 못갖춘 편파보도 난무”라며 공세를 가했다. 이에 맞서 동아일보는 22일 이 수석의 일부 발언이 명예를 훼손했다며 법적 대응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고, 노무현 대통령의 재산공개 내용을 검증하기 위한 특별취재팀을 가동했다.

발단은 지난 19일자 동아일보 1, 3면 머릿기사 ‘권양숙 여사 미등기전매 의혹’ 보도. 이병완 수석은 지난 21일 기자간담회에서 “보도를 통해 대통령을 떨어뜨리고 실패하도록 하겠다는 적대감의 발로”라며 “홍보수석실 차원에서 동아일보 취재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대변인은 취재에 응하고 있으며, 홍보수석실 직원들이 취재에 응하지 않는 것이지 취재 봉쇄는 아니다”고 부연했다.

22일자 청와대브리핑은 이병완 홍보수석의 동아일보 취재거부에 대해 “동아일보의 비이성적인 청와대 비판은 급기야 다른 신문에서 보도한 내용을 재탕해 1면 머릿기사로 올리는 편집증적 증세로까지 이어졌다”며 “비판 강도를 떠나 최소한의 기본 요건도 갖추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동아일보 보도에 대한 법적 대응도 검토중이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22일자 3면 ‘이 수석 주장에 대한 본보 입장’을 통해 “세계일보와 달리 의혹을 뒷받침하는 물증을 확보해 보도한 것” “기사 가치 판단은 신문사 고유 권한”이라고 반박했다. 같은 날 편집국 차원에선 후속대응을 위한 특별팀이 구성됐다.

우선 TF팀을 구성해 이병완 수석의 “표절기사” “(보도가) 대통령을 떨어뜨리려는 발로에서 나온 것은 아닌지” 등의 발언이 명예를 훼손한 데 대해 법적 조치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편집국 고위 관계자는 “보도에 대해 청와대가 다른 입장을 보일 수는 있지만 표절기사, 대통령 떨어뜨리기 등 극단적 발언을 한 것은 엄청난 명예훼손”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또 “감정적 대응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청와대 비방에 대해 독자들이 잘못 알 수 있는 부분의 진실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편집국에 특별취재팀 2개를 꾸려 △노 대통령의 재산공개가 정확했는지 △미등기전매 의혹과 관련한 권양숙 여사의 해명이 정확한 지에 대한 검증작업을 시작했다. 전담기자 2명이 배치됐고, 정치, 사회부 등 관련 부서 기자들이 공조취재를 하고 있다. 이동관 정치부장은 “보도를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며, 보도 여부는 취재내용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취재 불응에 대해 타 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우려를 표했다. 대한매일 세계 조선 중앙 한겨레 등은 23일자 사설에서 “권력기관이 특정 언론사에 대해 취재를 거부하는 것은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청와대가) 피해의식을 극단적으로 표출하는 것도 문제지만 동아 보도의 정확성과 공정성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이병완 수석은 지난 23일 윤태영 대변인을 통해 “동아일보 취재거부를 언론자유의 중대한 침해라는 일부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며 “홍보수석실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취재불응 외에 어떤 취재제한도 없다. 사안을 침소봉대하지 말라”고 말했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