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노 대통령 언론정책 놓고 갑론을박

김동민 교수-양문석 위원 인터넷 공방 벌여

전관석 기자  2003.10.01 12:53:32

기사프린트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정책을 두고 두 언론학자의 인터넷 공방이 뜨겁다.

논쟁은 김동민 교수가 지난달 19일 부산 민주주의사회연구소 주최 정기세미나 ‘언론과 권력 그리고 자본’에서 양문석 언론노조 정책전문위원(언론학 박사)의 글에 비판을 가하면서 시작됐다.

김 교수는 이날 발제문을 통해 양 위원의 글 ‘노무현 대통령 6개월 그리고 언론개혁’에 나온 “오보나 악의적 왜곡보도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제대로 구제받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또 이들의 보도행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편집권 및 인사권 독립 그리고 더 근본적인 문제인 소유구조 개선의 필요성을 중심에 둬야 한다”는 내용을 ‘순진하고 설익은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대통령이 언론개혁 차원에서 편집권 독립과 소유구조 등을 주제로 의제설정을 주도해야 한다는 발상은 잘못된 것”이며 “시민사회가 정부에 대해 요구할 것은 신문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확실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라는게 김 교수의 주장.

양 위원은 이튿날인 20일 시민의 신문과 인터넷에 반박글을 올렸다. 양 위원은 “대통령의 권한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공권력을 통해서 시장을 정상화하는 것이고 제도개선을 위한 대통령의 역할은 의제설정일 수 있다”면서 “대통령은 자기책임을 회피하고 이를 받아 김교수는 언론학자라는 타이틀을 달고 노대통령의 주장을 정당화시켜 주고 있다”고 맞받았다.

그러자 다시 김 교수의 재반박이 이어졌다. 김 교수는 시민의 신문에 보낸 반론글을 통해 “언론개혁이란 언론이 언론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이며 그 첩경이 정부의 개입에 의한 신문시장의 정상화”라며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공동배달제에 대한 지원 정도”라고 주장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정책 방향이 옳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김 교수와 양 위원은 지난 3월에도 김 교수의 SBS 사외이사 선임과 관련 한 차례 공방을 벌인 적이 있다.

전관석 기자 sherp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