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까지 언론계 안팎의 논란이 됐던 국제언론인협회(IPI) 결의안에 대해 대부분의 언론학자들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신문과방송>이 2003년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에 참가한 언론학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을 언론탄압감시국으로 지정·유지한 IPI 결의안에 대해 78.1%의 학자들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동의한다”는 응답은 20.8%에 그쳤다.
학자들은 ‘디지털 전송방식’ 문제를 현 시기 가장 중요한 언론현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현안’을 물은 질문에서 45.2%의 학자들이 “DTV 전송방식 결정”이라고 답했으며 참여정부의 언론정책·대응전반(37.9%), 공정위 신문시장 실태조사 및 불공정행위(35.6%), 지상파 방송3사의 독과점 상황(33.3%)이 뒤를 이었다. DTV전송방식과 이후 일정에 대해서는 “미국식”(20.8%), “방송위·정통부 합의일정 중심진행”(28.0%)보다 “유럽식”(52.6%) “위 일정을 중단, KBS 비교시험 예정대로 추진”(48.0%) 의견이 많았다.
KBS 미디어포커스, MBC 미디어비평 등 TV 미디어비평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전체 언론보도의 질이나 역할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26.4%), “어느 정도 긍정적”(48.9%) 등 75.3%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부정적인 평가는16.1%에 그쳤다.
최근 야권과 일부 언론이 제기하고 있는 KBS 개혁프로그램의 이념적 편향성에 대해서는 56%의 학자들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반면 정치권이 KBS를 길들이려고 한다는 주장에는 58%의 학자들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내년 5월부터 언론중재위에 설치하기로 한 ‘언론피해구제센터‘에 대해서는 전체의 86.5%가 그 필요성을 인정해 “언론자유를 탄압하는 기구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한나라당과 일부 언론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의 언론정책과 관련해서는 가판구독금지조처에 대해 60.4%가 잘한 일로 꼽았으며 기자실 폐지 및 브리핑제 실시는 63.9%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언론사를 상대로 한 소송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36.7%)와 부정적 평가(35.1%)가 비슷하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