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 신문은 지역혁신을 중심으로 한 ‘자립분권’ 프레임으로, 호남지역 신문은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프레임으로 참여정부의 지역정책을 보도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박세종 전남대 언론홍보연구소 상임연구원과 김옥렬 광주일보 기자는 지난 17일 광주전남기자협회와 (재)동서교류협력재단이 공동 주최한 ‘국가 정책에 대한 영호남 지역 언론의 역할’ 세미나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2월 25일 참여정부 출범 이후부터 10월 10일까지 광주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등 4개 지역신문의 인터넷판 기사 가운데 ‘지방분권’ ‘균형발전’ ‘선택집중’ 등을 다룬 사설, 칼럼, 해설, 기획기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사설 비교 결과 영남지역 신문은 ‘돈 줄 죄어놓고 지역개발이라니’(매일) ‘지방정부 견제장치도 절실’(매일) ‘지방분권 실현은 시대적 소명’(부산) ‘지방분권을 향한 의미있는 출발’(부산) 등 지방분권의 실현 방안과 기대를 중심으로 다룬 반면 호남지역 신문은 ‘분권앞서 지역간 격차 해소를’(광주) ‘생물산업 푸대접은 또 뭔가’(전북) ‘낙후지역 더 많은 지원 있어야’(광주) ‘선택과 집중이 호남홀대인가’(광주) 등 지역간 격차 해소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기획기사에서도 이같은 차이가 드러난다. 실례로 부산일보가 4월 8일부터 14회에 걸쳐 다룬 ‘지방분권 지역혁신부터’ 시리즈와 광주일보의 ‘지방의 논리-왜 균형발전인가’(5월 14일)라는 기획기사는 지역정책에 대한 접근방식이 대비된다.
또 영남지역 신문이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민들에게 지역혁신의 필요성을 ‘이성적’으로 소구한 반면 호남지역 신문은 중앙정부에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지원을 요구하는 ‘감성적’ 소구를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언론이 취한 입장과 보도양식에 따라 뉴스내용에 대한 시민의 해석과 의견이 달라질 수 있다”며 “뉴스프레임이 차이나는 이유 중 하나는 호남지역이 자립형 지방분권을 시행하기에 제반 경제 지표가 뒤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두 지역간 정치적 토대의 차이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