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협상에 나선 상당수 언론사가 속 시원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경기 침체 영향으로 예년에 비해 늦게 시작된 임금 협상은 노사간 의견차로 난항을 거듭하는 상태다.
경향신문 노조는 회사측이 임금 동결 방침을 고수하자 지난 15일 임금협상 결렬선언을 했다. 곧이어 20일 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발생 신고를 하고 10일간의 조정 기간에 들어가 있다. 노사가 중재안에 합의하지 못하면 노조측은 이달말 쟁의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동아일보는 회사측이 ‘임금 동결’을, 노조가 ‘기본급 7.7% 인상’을 주장하고 있어 협상이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한국경제 역시 노조의 ‘기본급 3% 인상’ 요구에 회사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상여금에 대해서는 1000% 중 200%를 반납하는 쪽으로 노사간 잠정 합의를 한 상태다.
헤럴드미디어는 지난 24일 상여금이 정상 지급되지 않자 노조가 ‘체불’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임금 협상 역시 노조가 16.5% 인상을 요구하는 반면 사측은 기본급 동결에 미지급된 상여금 600%의 지급시기도 유보하겠다는 안을 내놓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 한 관계자는 “지난해 임금이 4% 인상되기는 했으나 지난 4년 동안 거의 동결 상태였다”며 “홍정욱 사장 취임 후 80여명을 구조조정하는 등 고통을 분담했지만 부채만 늘어났는데 또다시 고통 분담을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대한매일은 매주 세 차례 본교섭 및 실무협상을 하면서 노사 양측이 수정안을 제시한 상태지만 노조안(기본급 3% 상여금 100% 교통비 2만원 인상)과 사측안(기본급 2.25% 상여금 100% 인상)이 팽팽히 맞서 있다.
이와 관련, 한 신문사 노조 사무국장은 “외환위기 때보다 나빠진 회사 사정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치는 회사안을 수용하는 것도 어렵다”며 답답해했다.
이외에 국민일보 문화일보 등은 임금협상을 곧 시작할 계획이며, 협상을 막 시작한 연합뉴스는 노사간 인상폭(노 11% 사 2% 인상)을 조정해야 한다. 앞서 매일경제는 6~7개월간 진통 끝에 이달초 임금협상을 타결했다. 당초 사측이 상여금 500% 삭감을 주장했으나 노조가 물가상승률에 따른 임금인상을 요구하면서 결국 동결로 합의했다. 중앙일보는 지난 9월 기본연봉 대비 2%+α에 해당하는 100만원을 일괄 지급했으며, 조선일보는 같은달 말 총액대비 3% 인상, 한겨레는 기본급 3% 및 상여금 100% 인상안에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