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V와 DMB 관련 방송의 디지털 전환정책이 산업논리에만 입각해 성급히 시행되기 보다는 시청자보호나 관련법 개정 등 복합적인 고려가 우선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언론정보학회는 지난달 31일 ‘방송의 디지털 전환정책과 쟁점’ 토론회를 열어 DTV 전환과 DMB 시행을 둘러싼 논란들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발제를 맡은 김평호 단국대 방송영상학부 교수는 “DTV 전환은 단순히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시청자에 대한 서비스차원의 문제인데도 주로 기술적 우위에 대한 평면적 비교에 치우쳐왔다”며 △디지털 전환정책과 디지털 방송서비스 모델의 문제 △수용자의 디지털 전환 참여 문제 △이동수신 서비스와 DMB의 문제 △디지털 전환 재원마련 문제 △케이블 위성 지상파 등 각 매체간 호환성과 통일성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우리나라는 매체별로 서로 다른 디지털 기술표준이 선정돼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이 되는 기술의 중복투자를 피하기 어렵게 됐다”며 “기술을 표준화하기 위한 기구가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종환 동아방송대 교수도 “방송의 디지털 전환정책과 관련해 정통부 방송위 방송사 등 수행기관간의 합의가 제대로 이뤄진 적이 거의 없었다”며 전반적인 표준화논의 기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창신 디지털타임스 기자는 “지상파의 디지털 송신이 이뤄져도 유선방송이 디지털화 되지 않으면 시청자가 고화질 방송을 볼 수 없다”며 “TV를 시청하는 주된 방법이 현재 지상파 직접수신이 20%인 반면 케이블 유선이 65%나 되는 만큼 케이블의 디지털화 및 케이블과 지상파의 동일한 표준에 대해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방송사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지상파DMB와 SK텔레콤 주도의 위성DMB의 경우 시급하게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보다는 과열경쟁 등 위험부담이 더 크다는 우려가 많았다.
김혁 KBS PD는 “지상파DMB와 위성DMB가 현재로서는 수용자, 수입원, 콘텐츠 등에서 거의 유사할 수밖에 없어 과열경쟁이 우려된다”며 “과연 현시점에서 둘 다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 원점에서 다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양동복 CBS 부장은 “DAB 논의가 DMB논의로 바뀌면서 라디오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는 것을 느꼈다”며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의 의미를 축소하고, 산업효과만을 강조하면서 수용자에게 시청을 강요하는 논리가 앞서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