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라 창간되고 있는 무료신문과 신문고시를 위반하는 무가지 거래 등 신문시장의 과열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지난 7일 ‘무료신문 실태 진단과 대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가뜩이나 어려운 신문시장이 무료신문의 등장으로 위기에 처했으며 무가지에 대한 규제장치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공정한 경쟁마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발제자로 나선 신미희 오마이뉴스 기자는 “최근 문화일보가 ‘AM7'을 창간하고 목포일보가 무료신문으로 전환하는 등 무료신문 창간을 검토 및 준비하는 경향이 증대한 것은 어디까지나 신문사의 생존전략적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며 “일간지가 무료신문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현 신문시장의 잘못된 구조를 개혁하는 데 우선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기자는 또 “신문시장의 위기는 유료신문에 대한 독자들의 신뢰도 저하와 구독자 감소, 광고시장의 불황 등 더 본질적인 문제들이 배경에 깔려 있다”며 “기존 신문의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고찰 없이 신규매체인 무료일간지의 등장으로 인한 신문시장 변화에 우선 책임을 돌리는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박영섭 경향신문 판매본부장은 무료신문 등장 이후 △가판시장 판매감소 △아파트 신문구독률 50%대 하락 등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우려를 드러냈다. 박 본부장은 “신문의 판매수입이 광고수입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앞으로 무료신문이 더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금까지 무료신문은 주로 지하철을 중심으로 배포됐지만 과열경쟁으로 인해 사무실이나 가정에까지 배달되기 시작하면 광고시장에 상당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토론자들은 무료신문의 등장으로 파생될 문제가 단순히 광고시장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재희 언론노조 지역신문특위원장은 “무료신문은 상업적 이해를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주의 입김이 커질 위험이 있다”며 “시장논리만 앞세운 무료신문으로 인해 잘못된 여론이 형성되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또 “유료신문 역시 심층보도, 공정한 신문시장 형성 등 무료신문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소홀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반면 조충연데일리포커스 경영기획실장은 △독자들이 무료신문을 즐기면서 유익한 통근시간이 형성됐다는 점 △사설이나 논평보다 사실중심의 보도를 통해 기존 신문과 차별성을 꾀한 점 △판매시장에 단기적으로는 불이익을 주는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확대를 통해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 등을 긍정적 변화로 꼽았다. 조 실장은 “신문시장의 어려움은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의 등장이 보다 큰 요인”이라며 “이제는 신문시장도 비즈니스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문고시를 위반하는 무가지 문제와 관련 정연구 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신문판매의 부가가치세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 교수는 “부가가치세를 징수하게 되면 신문판매의 정확한 내역을 알 수 있고 언론사 탈세, 무가지 남발 등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며 “부가세 징수로 인한 소비자의 부담은 있겠지만 다양한 신문구독권을 보장해주는 인센티브로 활용한다면 오히려 국민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