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일본에서도 '기자단'이 문제

요미우리, 아사히 등 주류언론이 정보 독점

박주선 기자  2004.02.24 00:00:00

기사프린트

“주류신문이 ‘기자단’이라는 이름으로 뉴스원과 정보를 독점하고 있다.”

국내 언론에 관한 얘기가 아니다. 일본 주류언론의 폐쇄적인 기자단 운영을 꼬집은 글이 미디어월드와이드 11월호에 번역돼 실려 눈길을 끌었다. 원문은 조셉 아트킨이 편집한 <언론의 의무-저널리즘과 윤리 그리고 세계>에 실린 노무라 다케히코의 ‘일본언론-직업안정성과 언론인의 의무’라는 제목의 논문.

이 글은 “요미우리 아사히 마이니치 노혼게이자이 산케이 등 일본 주류언론이 정부부처, 정당, 주요 정부투자기관, 경제단체, 경찰 등에 기자단을 운영하면서 정보를 독점한 채 잡지나 프리랜서, 외신기자들의 접근을 차단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작 권력의 비리관련 대형 특종은 기자단에 소속돼 있지 않은 기자들의 몫이었고, 오히려 주류 신문은 권력에 불리한 특종기사를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실례로 2000년 몇몇 잡지기자들이 모리 요시로의 최측근이자 관방장관이었던 나카가와 히데나오의 비리 혐의를 제기해 결국 사임하게 됐으나 주류 신문은 의혹을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이들 신문이 자민당에 편향돼 있어 권력 감시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게 논문의 분석이다.

주류 언론과 정치집단, 기업체가 한 통속으로 움직이는 데는 일본의 배타적인 대학인맥도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꼽았다. 또 정부의 각종 자문위원회가 유력 언론사의 언론인들을 위촉해 정책결정 과정에 깊숙이 개입시키면서 권언유착의 통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논문은 이에 대해 “메이지유신 때부터 시작된 언론검열의 강도가 20세기 초부터 낮아지긴 했지만 언론은 자발적으로 권력에 순응했다”고 분석했다.

논문은 이밖에 일본 주류 언론의 남성중심적 태도, 상사가 원하는 기사만을 쓰는 편집국 문화, 언론으로서의 사명보다는 돈과 권력을 좇는 모습 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