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상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와 매체별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유료방송 시장을 놓고 지상파?케이블?위성방송 사이의 경쟁이 과열되는 조짐을 보이면서 각각 차별화된 전략을 위한 노력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방송학회와 스카이라이프는 지난 14일 ‘유료방송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방안’ 세미나를 열고 유료방송 시장에서 각 매체가 공존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했다.
발제를 맡은 정용준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유료방송 정책이 표류하게 된 원인으로 △뉴미디어와 상업적 속성이 강한 매체에 지상파 위주의 공익성을 과도하게 강조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모두 명확한 논리적 근거 없이 국책사업으로 출발 등을 제시했다. 정 교수는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지상파와 달리 상업적 속성이 강한 매체라는 점에서 우선 유료방송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유료방송 정책은 지상파보다는 뉴미디어에 집중돼야 하고 지원정책보다는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케이블과 위성방송의 갈등에 논의가 모아졌다. 위성방송과 지역방송이 지상파 재전송에 대한 협상을 벌이면서 케이블 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영음 한국방송대학 방송정보학과 교수는 “위성방송이 지상파를 재전송할 경우 다수의 케이블 가입자가 위성방송 서비스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지상파 재전송의 문제는 사업자 측면뿐만 아니라 이용자 측면에서 주장할 수 있는 권리이기도 하기 때문에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결국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며 “케이블의 경우 지역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와 지역정보 및 지역 커머스 서비스를 포함하는 쌍방향 서비스 개발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김정수 방송위 정책2팀장은 “위성방송이 허가를 받을 당시에는 별도 콘텐츠를 개발하는 특화채널로 약정됐는데 이제와서 지상파를 재전송하겠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도 “재전송 문제가 불거진 이상 케이블과 위성방송이 모두 활성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절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