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뉴스통신진흥회 주식이전 협상 가닥

연합-KBS • MBC 증자후 실권주 인수 합의, 증자비율엔 의견차

박미영 기자  2004.02.24 00:00:00

기사프린트

연합뉴스가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 통과 이후 KBS, MBC와 벌이고 있는 주식이전 협상이 가닥을 잡고 있다.

연합뉴스와 KBS, MBC는 지난 11일 3자 협상을 갖고 증자 후 KBS와 MBC의 실권주를 뉴스통신진흥회가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흥회를 최대주주로 만든다는 데 합의했다. 증자비용은 연합뉴스가 뉴스통신진흥회에 출연, 실권주 인수 후 연합에 되돌려주게 된다. 그러나 연합뉴스와 KBS, MBC는 뉴스통신진흥회의 지분을 몇 %로 할 것인가와 한 주당 주가를 얼마로 할 것인가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연합뉴스는 뉴스통신진흥회가 최소 40%이상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증자비율을 정할 것을 주장한 반면 KBS와 MBC는 33% 선에서 증자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MBC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의 경우 뉴스통신진흥회가 보다 안정적인 지분을 확보하기를 원하지만 KBS, MBC 입장에선 지분이 낮아지는 것인 만큼 진흥회가 법에서 정한 1대 주주가 될 수 있는 최소 비율 정도로 증자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며 “그러나 크게 이견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뉴스통신진흥회 이사구성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맞춰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가를 얼마로 하느냐는 실제 유상증자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KBS 관계자도 “협상이 거의 마지막 단계”라며 “연합뉴스가 새 출발하는데 도와줘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와 KBS, MBC는 뉴스통신진흥법 부칙에 ‘뉴스통신진흥회에 관한 규정은 뉴스통신진흥회가 연합뉴스사의 최대주주가 되는 날부터 시행한다’고 명시돼 있어 법통과 이후 5개월 여 동안 주식 이전 협상을 벌여왔다.

한편 주식이전 문제와 맞물려 있는 뉴스통신진흥회 이사 구성은 현재 추천 인사에 대해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가 문제를 제기하면서 봉착 상태에 빠져있다. 연합뉴스지부는 현재 신문협회, 방송협회, 국회(3명)에서 추천한 인사 5명 가운데 일부 인사가 정치권에서 활동한 점 등을 들어 각 추천기관에 재 추천을 요구하고 있다. 또 이사 7명 중 나머지 2명에 대한 추천권을 가지고 있는 대통령 몫과 관련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추천 인사에 대해 경영진과 노조 등 이해당사자들이 이견을 가지고 있는 상태여서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라고전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