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가 시•군 지역 지상파 방송사의 DTV 허가신청 기한을 7개월 연기하기로 결정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방송위는 지난달 28일 전체회의에서 △7개월 후에 허가일정을 진행하더라도 오는 2005년 본방송 개시 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 △지난 2001년에도 광역시 소재 방송사의 DTV 허가일정을 7개월 연기해 시행한 전례가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해 이같이 결정했다.
방송위원회 성유보 상임위원은 “DTV 전환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고 자칫 전송방식이 바뀔 수도 있는 상황에서 예정된 전환일정을 강행할 경우 방송계의 혼선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 전송방식이 어떤 것으로 결정되느냐와 무관하게 일단 현시점에서 편견없이 추이를 지켜보고 필요하면 재검토를 하는 게 옳다는 생각에서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방송위는 이번 결정이 시?군 지역의 DTV 본방송 개시 일정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이번 결정은 해외실태조사, MBC 비교시험 자료 검토, KBS 비교시험 등 DTV 전송방식 재검토와 전환일정 중단을 요구하는 각계 여론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시?군 지역 DTV 허가신청 기한의 연장 결정이 실제로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아직 미지수라는 점에서 방송계와 시민단체들은 이번 결정을 반기면서도 정작 코앞에 닥친 광역시 전환일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 방송위의 입장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지상파 DTV 방식변경을 위한 전국방송인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시?군 지역 DTV 허가신청을 연기한 방송위의 이번 결정은 당연한 조치”라면서도 “불과 30일 앞으로 다가온 광역시의 DTV 전환일정 중단에 대해서도 방송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DTV소비자운동 전국언론노동조합 방송사노조협의회 민영방송노조협의회 등은 철야농성 100일을 맞이한 지난달 26일 ‘광역시 디지털방송 전환일정 저지 투쟁 선포식’을 갖고 지난달 28일부터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에서 시민단체와 함께하는 지역순회 집회를 순차적으로 열고 있다. 선포식에 참여한 이들 단체들은 “5대 광역시의 디지털 전환이 불과 한달 안으로 다가오고 있어 시간적 여유가 없다”며 “광역시 디지털 전환 강행은 결국 시청자, 방송사,전문가등 누구도 원하지 않는 미국방식의 고착화로 갈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대전에서 집회가 열렸던 지난달 28일 ‘DTV 전송방식 변경을 위한 대전충남소비자 운동’도 성명을 통해 “미국방식 선택으로 지역방송은 지역 특성에 맞는 콘텐츠, 이동 및 휴대수신, 쌍방향, 고화질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지역 주민들에게 서비스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며 “미국 방식의 기술적 결함을 케이블이나 위성 등 유료서비스로 대체할 수밖에 없어 지역 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은 더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