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라크파병 어느 장단에 맞춰야…

민간인 피살사건 이후 언론 논조 또 제각각

박주선 기자  2004.02.25 03:25:53

기사프린트

이라크에서의 한국 민간인 피살 사건 이후 국내 언론들은 파병에 대한 엇갈린 입장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지난 1, 2일자 사설에서 경향 대한매일 한겨레 한국 등이 파병신중론 또는 파병결정 철회를 주장한 반면 국민 동아 세계 조선 중앙 등은 정부가 테러와 파병을 연계시키지 않은 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조선 중앙은 전투병 파병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경향신문은 “이라크 추가파병 문제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 바란다. 우리 국민을 더 이상 테러의 위험 속으로 몰고갈 수는 없지 않는가”라고 주장했다. 대한매일은 “정부는 악화되고 있는 이라크 상황을 직시하고 추가 파병문제를 심각하게 재검토할 것”을 강조했다. 한겨레는 “파병이 추진되는 한 이번 사건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해결책은 모순이 더 커지기 전에 하루 빨리 파병 결정을 철회하는 것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국일보는 “인명손실 위험이 확인됐는데도 국가의 신의를 위해 파병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맹목적 애국주의는 특히 무책임하다”며 “파병을 서두를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반면 동아일보는 “테러 때문에 한번 결정된 국가정책이 주춤거리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정부가 이번 사건을 이라크 파병 결정과 연계시키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옳은 자세”라고 칭찬했다. 조선일보는 “이런 테러 공격 때문에 국가적 신의와 위신이 걸려 있는 파병 결정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파병부대 성격과 관련, “이라크 현지에서는 (전투병, 비전투병)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것이 이번 사건을 통해 드러났다”며 “지금이라도 현지에서 활동하게 될 우리 젊은 장병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군의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역시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강조하면서 “이라크 저항세력이 부대의 성격 여부에 따라 공격하고 안하고 할 ‘관대한’ 부류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 우리 군의 안전은 우리가 책임진다는 것을 파병부대 구성의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우리 국민이 직접 당한 탓에 위기감이 증폭되었을 뿐 현지에서의 테러는 항다반사(…) 파병을 재고해야 할 만큼의 새로운 사태가 발생한 게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겠다”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강조했다. 세계일보는 “정부가 이번 사건을 파병과 연계하지 않는다는점을 신속히 확정한 것은 주변상황뿐 아니라 국익을 고려한 어려운 판단이라 평가한다”고 밝혔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