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지방분권특별법 등 지방분권 3대입법과 관련해 중앙일간지들은 주로 비판적 시각을 보이거나 관심 있게 다루지 않고, 지방신문들은 지역 주민들의 이기심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방분권국민운동과 지역언론개혁연대가 지난 5일 주최한 ‘지방 살리기 3대입법 보도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해 갈등을 부추기는 언론의 보도 관행이 더 이상 지속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중앙일간지들의 지방분권 3대입법 관련 보도가 지역균형발전과 분권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수도권과 서울 지역 주민들의 이기심을 자극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중앙일간지들은 ‘행정수도 반대 주장 검토해야(동아 11월 19일)’, ‘행정수도 정말 필요한가(조선 11월 27일)’, ‘원로 학자들의 신행정수도 반대(중앙 11월 20일)’ 기사에서 △재정부담 △여론수렴과 계획수립 미흡 △공무원들의 생활불편 등을 이유로 반대입장을 펴고 있다는 것. 특히 동아일보는 ‘행정수도건설’이라는 용어보다는 ‘수도이전’이라는 용어를 써 부정적 시각을 확산시켰으며, 지난달 12일자 대구?경북판에는 ‘신행정수도, 수도권 분산 아닌 확장’이라는 기사를 싣고 “충청권에 신행정수도가 건설되면 대구?경북이나 전남?광주 등 다른 지방에는 그다지 환영할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등 지역간 갈등을 부추겼다는 비판이다.
지역언론 역시 각 지역의 이해만을 대변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나누는 이분법적 태도와 지역이기주의적 보도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신문들은 신행정수도건설이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의 핵심인 것처럼 보도하는 등 지역이기주의적 입장을 강하게 드러낸 반면 수도권 신문들은 “지역균형발전특별법이 수도권에 대한 역차별”이라며 결사반대의 논조를 폈다. 영남권 신문들은 “신행정수도가 영남권으로 와야 한다”고 보도하는 등 지역이기주의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희창 대전충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사무국장은 “지방분권운동은 대안적 발전을 추구하는 운동이며 희망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점에서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간불균형의 문제에 대해 언론이 관심을 갖고 제대로 보도함으로써 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도모해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