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의 광역시 전환 일정 중단 및 광역시권 방송사의 디지털방송 송출 연기를 요구해 온 방송사 노조, 방송기술인,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이 만약 KBS와 MBC가 광역시의 디지털방송 송출을 강행할 경우 물리력으로라도 막겠다는 방침이어서 파문이 예상된다.
MBC는 DTV 광역시 전환을 보름 앞둔 현 시점에서 송출기한 준수여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MBC본사와 노조는 유럽식을 지지하는 동일한 입장을 취해왔지만 정통부가 허가취소 등 방송사에 대한 제재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MBC만 전환일정을 따르지 않을 경우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지역MBC들은 노조와 MBC본사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이지만 MBC본사가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어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지역MBC 한 관계자는 본사에서 결정을 내리면 광역시권 MBC들은 모두 공동보조를 맞춰갈 것이라며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재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추가비용 절감 측면에서도 전환일정을 늦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BC는 현재 광역시권 전환일정을 합법적으로 연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법률 검토 작업도 벌이고 있다. 최승호 MBC 노조위원장은 가급적 시청자들에게 무리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법률 검토에 들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KBS노조도 지난 15일 열린 노사협의회에서 광역시권 DTV전환일정을 KBS가 늦출 것을 요구했으나 사측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사장은 이날 KBS DTV TF팀의 입장이 곧 KBS입장이고 아직 KBS비교시험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입장에 맞춰 판단을 내릴 수는 없다며 정통부의 제재조치도 생각해야 하는 등 KBS비교시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입장을 정할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이훈희 KBS 노조 정책실장은 KBS가 시청자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만약 광역시권 KBS가 디지털방송을 송출할 경우 시청자들의 DTV 구매효과가 커질 것이라며 만약 DTV가 유럽식으로 바뀔 경우 예상되는 시청자들의 혼란에 대한 책임은 KBS에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MBC는 지난 10일부터 HD프로그램에 DTV전환 관련 자막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자막 방송은 방송협회는 디지털TV전송방식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전환일정을 재검토해달라고 방송위윈회에요청했다며 MBC는 디지털화가 시청자를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MBC iMnews에서도 디지털TV 자막고지 방송에 대한 안내말씀에서 DTV논란에 대해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안내문을 띄웠다. MBC는 전송방식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상황에서 전송방식 변경 등으로 시청자가 져야 할 경제적 부담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며 시청자에게 전송방식에 대한 실상을 정확하게 알리는 것이 언론의 의무라고 판단해 자막방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KBS도 지난 11일 MBC와 유사한 내용의 자막을 내보냈으나 내부 의견차로 인해 중단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