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의 투명성 확보와 돈 안드는 선거를 위해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높다.
특히 방송뉴스의 경우 선거법 개정을 위해 지난달 5일 구성된 국회정개특위가 당리당략에 치우쳐 시민단체들의 정치개혁 의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데도 정치개혁의 핵심에 대한 설명 없이 정치권의 공방에만 초점을 맞춰 보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야3당 선거법 상정 강행???정국대치 심화(SBS 12월 24일)>, <정치개혁법 진통 “4시간째 대치”(MBC 12월 23일)>, <선거법..아수라장(MBC 12월 24일)>, <의원 정수 290명 증원 막판 쟁점화(KBS 12월 23일)> 등 방송들은 대부분 선거법을 둘러싼 여야의 정치적 대립을 주로 다뤘지만 쟁점이 되는 사안에 대한 분석이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은 부족했다.
보도태도에 있어서도 방송사들은 각 정당과 이해 당사자들의 주장을 단순 전달하는 데 그치는 모습을 보였다. KBS뉴스9는 지난달 26일 <선거구 절충 결렬, 책임총리제 빅딜 논란>에서 “여야의 첨예한 대치로 선거법 개정안 처리가 또다시 진통을 겪고 있다”며 홍사덕 한나라당 총무, 조순형 민주당 대표, 김근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등의 상이한 입장만을 보도하는데 그쳤다. KBS뉴스9는 또 27일 <선거법 소동 속 또 결렬>에서 각 당 의원들이 상호 비방하는 입장만을 전달했으며, SBS8뉴스도 같은 날 <선거법 개정 연내 처리 무산>에서 각 당의 주장을 설명하고 인터뷰를 하는 등 단순 나열식 보도태도를 보였다.
또 지난 11월 정치개혁을 위한 자문기구로 출범한 범국민정치개혁협의회(범개협)의 정치개혁안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 보도는 거의 없었다. <‘뒷걸음치는’ 정치자금 관련 개혁안(SBS 12월 25일)>, <정치개혁 역행하면 총선 때 보자(KBS 12월 23일)> 등이 일부 시민단체들의 목소리를 담기는 했으나 구체적인 요구는 담지 못한 채 정치권의 공방에 대한 시민단체의 비판을 전달하는 데 머물렀다. 범개협 정치개혁안의 내용에 대해서도 지난달 8일 KBS9뉴스 <비례대표 100명, 의원정수 299명으로>와 같은 날 MBC가 <정치개혁협의회 “지역구 축소”>에서 보도하기는 했지만 정치개혁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나 분석은 없었다.
이와관련 김동준 PD연합회 정책부장은 “정치개혁 관련 방송뉴스의 경우 시민사회가 설정한 정치개혁이라는의제를 왜곡한 각 정당과 이해 당사자들의 이기적인 자기주장을 전달하는 보도뿐이었다”며 “자칫 정치개혁이라는 의제를 다시 국민의 무관심 속으로 빠뜨리는 결과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