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통부, 광역시 DTV전환일정 연기 수용

방송대란' 일단 수면 아래로...철야농성은 계속

조규장 기자  2004.02.26 00:00:00

기사프린트

정보통신부가 방송4사 사장단이 제기한 광역시 DTV 전환일정 연기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해 이달 초 예상됐던 방송사노조 총파업 등 방송대란이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방송계에서 요구하고 있는 △광역시 DTV 전환일정 연기 △MBC 비교시험 결과 검증 △KBS 비교시험 요청 등을 전면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류필계 정통부 전파국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에게 최상의 고정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수신도 제공하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라며 “여러 대안을 놓고 정통부가 개방적 자세로 관련된 분들의 의견을 듣겠다”고 밝혔다.

류 국장은 또 “실태조사 결과를 실무자로부터 보고받았는데 HD방송에 있어 미국식의 경우 문제가 전혀 없고 이동수신에는 유럽식이 유리한 것이 입증됐다”며 “기술이 발전하면 HD급도 이동수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기술적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광역시 DTV 전환에 따른 방송노조의 총파업 등 방송대란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지만 방송사노조는 청와대의 재검토 계획이 무산됐다는 점에서 오히려 우려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지난달 29일 “DTV 전환을 둘러싼 갈등과 기술적 부분을 찾아 해법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며 청와대가 직접 개입해 재검토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그러나 진대제 정통부 장관이 방송계의 요청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천망한 이후 다시 공이 정통부로 넘어갔다는 것. 청와대는 직접 추진하기로 했던 방침을 바꿔 DTV 관련 업무를 다시 정통부에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이날 “지상파DMB의 채널수를 늘리고 모든 지상파 방송사에 참여를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지만 방송사노조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만약 DTV 전송방식이 유럽식으로 변경될 경우 DMB 사업이 따로 추진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방송사 참여 허용은 ‘당근’에 불과하다는 것. 또 DMB 사업이 지상파 방송사에 집중될 경우 지상파 방송사에 대한 특혜 논란이 예상돼 여전히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다.

이와 관련 방송사노조는 총파업 찬반투표 실시 공고를 일단 연기했지만 철야농성을 계속 이어나가고 추이를 지켜본 후 오는 5일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다시 밝힐 예정이어서 논란은 쉽게 종식되지 않을전망이다.

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